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수원개인회생지난 2019년 실업급여의 지급 기간과 급여액이 늘어나면서 오히려 비정규직 근로자가 약 24만 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실업급여 수급 자격을 얻기위해 필요한 기간만 일한 후 반복적으로 수급을 받으려는 경향이 강해진 결과로 분석된다. 18일 파이터치연구원이 발표한 ‘실업급여가 비정규직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이러한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실직 전 받은 평균 임금 대비 실업급여 비중이 1%포인트 증가하면 비정규직 비중은 0.12%포인트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최근 변경된 실업급여 제도에 적용하면 실업급여 인상으로 인해 비정규직 근로자가 24만 1000명 늘어난다는 계산이다. 2018년과 비교했을 때 지난해 실업급여의 지급 비중은 50%에서 60%로 증가했고 같은 기간 비정규직 비중은 1.2%포인트 증가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실업급여가 증가하면 구직자가 도덕적 해이에 빠질 위험이 커진다”며 “특히 계약 기간이 정해진 비정규직 근로자는 실업급여 수급이 용이해 이 문제는 비정규직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실업급여 지급액은 2018년 6조 7000억 원에서 2023년 11조 8000억 원으로 약 80% 증가했으며 지난해 기준 최저임금을 받고 월 209시간 일한 근로자의 실수령 월급(184만 원)보다 실업급여 수급자가 받는 월 최소액(189만 원)이 더 많은 역전 현상도 발생했다. 일각에서는 한국의 실업급여 수급 요건이 비교적 느슨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국은 실직 전 18개월 중 180일 근무하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지만 독일은 30개월 중 12개월 이상, 스위스는 24개월 중 12개월 이상 근무해야 한다. 연구원 관계자는 “높은 수준의 실업급여는 구직자가 취업과 실업을 반복하며 실업급여를 지속적으로 수급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며 “현재 실업급여 지급 수준을 이전 수준으로 조정하고 수급 요건을 강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2005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과 유럽 20개국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우스만-테일러 추정법을 적용해 실업급여 비중과 비정규직 근로자 수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94 이학수 정읍시장, 공직선거법 위반 파기환송심서 '무죄'(종합) 곽두원 2025.03.20 41
5693 대구 군부대 이전터, 첨단산업·의료·교육·국제금융 공간으로 다시 태어 장기적 2025.03.20 47
5692 이복현 "삼성 이니셔티브 지지…삼성SDI 유상증자 신속 심사 창지기 2025.03.20 39
5691 헌법재판소는 민주주의의 가치를 지켜야 할 최후의 보루”라며 “더 이상의 지연 없이 외모재 2025.03.20 57
5690 크래프톤 야심작` 인조이, `배그` 잇는 대형 IP로 크나 블랙몬 2025.03.20 54
5689 윤 대통령 파면”…충북도민 1천명 하루 단식 나선다 다시췌 2025.03.20 60
5688 백병원들 컨트롤타워 '부산시대' 열렸다 체크맨 2025.03.20 64
5687 남3구 토허제 확대·재지정···아파트 갭투자 전면 차단된다 학교장 2025.03.20 48
5686 금요일 전국 대부분 지역 황사 물러가고 대기질 ‘보통’ 엔젤몬 2025.03.20 50
5685 미국에서 최근 몇 달 새 달걀값이 치솟으면서 남부 접경지 자리에서 2025.03.20 60
5684 트럼프·머스크, 핵무기 관리자 이어 항공기 안전 인력도 해고…'무지성' 칼부림? 곽두원 2025.03.20 62
5683 도시의 시공간 배경으로 삶의 진정성 담은 포크레인 2025.03.20 51
5682 실리콘밸리 연구 거점은 국내 연구소와 함께 투트랙으로 운영한다. 현지 사정에 맞춰 에이스 2025.03.20 62
5681 현대모비스, 차량용 반도체 독자 개발 가속…미 실리콘밸리 연구거점 신설 냉동고 2025.03.20 63
5680 이와오 개발자는 기록을 발표한 2023년 상담실 2025.03.20 63
5679 숙박비·식비·교통비’ 등 지원···태안군, ‘한달살이 프로그램’ 운영 안좋아 2025.03.20 56
5678 태나 환경 등 주제의식을 더 깊이 가꾸는 작업도 하려 한다”고 했다. 꽃밭이 2025.03.20 66
5677 의대 교수도 "이런 일 드물다"…멈춘 심장 뛰게한 '35분의 기적 곽두원 2025.03.20 48
5676 현대판 ‘모세의 기적’ 걸으며 축제 즐기자”···보령시, 주꾸미&도다리 대잔치 외톨이 2025.03.20 51
5675 작가 조은필의 미술 세계를 표현한 ‘블루의 변주: 선명한 파란색 무지개 애헤이 2025.03.20 6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