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당일꽃배달# 2011년 터진 '저축은행 사태'에서 힘겹게 탈출한 국내 저축은행 업계가 또다시 위기에 빠졌다. 이번에도 위기의 뇌관으로 작용한 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이었다. 2020년 팬데믹 이후 이어진 저금리 국면에서 PF 대출을 늘린 게 부메랑으로 돌아왔다. 문제는 저축은행의 실적 악화의 불똥이 애먼 서민에게 튀고 있다는 점이다. 건전성 강화에 나선 저축은행이 중‧저신용자 대출부터 조이고 있어서다. # 물론 몇몇 저축은행이 중‧저신용자 대출을 취급하고 있긴 하지만, '서민금융'이란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대출 문턱을 높인 것도 모자라 저축은행의 대출 금리가 대부업체와 다를 바 없다는 지적까지 받고 있어서다. 저축은행은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 걸까. 視리즈 '본질 잃은 저축은행 자화상 2편'에서 살펴봤다. 우리는 '본질 잃은 저축은행 자화상 1편'에서 실적 악화에 허덕이는 저축은행의 현주소를 살펴봤다. 저축은행의 실적이 마이너스로 곤두박질친 건 2023년부터다. 고금리 기조의 영향으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이 부실화한 결과였다. 저금리 국면에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해냈던 PF 대출이 애물단지로 전락했다는 거다. 이를 엿볼 수 있는 게 저축은행의 PF 대출 연체율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2년 6월 2.17%였던 저축은행의 PF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6월 12.52%를 기록하며 2년 만에 10%포인트 넘게 치솟았다. 다행히 3분기 연체율이 9.39%로 소폭 하락했지만 안심하기엔 이르다. 저축은행이 매각해야 할 부실 PF 사업장이 적지 않아서다. 올해 2월 기준 국내 38개 저축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매각 대상 PF 대출 사업장은 128건이나 됐다. 누군가는 "가계 대출을 확대해 수익을 늘리면 될 것 아니냐"고 말할지 모르지만,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저축은행의 대출 연체율은 8.37%에 달했다. 연체율만 감안하면 지금은 건전성을 강화하는 게 급선무다. 이 때문인지 저축은행이 가계 대출을 늘리긴커녕 중‧저신용자 대출을 외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란 지적도 나온다. 저축은행의 부실이 장기화하면서 서민금융기관로서의 역할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거다. ■ 높아진 대출 문턱 = 이 때문인지 저축은행은 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다. 올해 2월 신용대출을 취급한 국내 33곳의 저축은행 중 19곳이 신용점수 600점 이하의 중·저신용자에 대출을 해주지 않았다. 저축은행이 건전성을 관리해야 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중·저신용자 대출을 조이고 있는 셈이다. 신용평가기업 나이스평가정보가 김남근(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저축은행의 중·저신용자 신용대출(신규 취급액)은 2022년 4006억원에서 2023년 2368억원으로 줄었고, 지난해엔 늘어나긴 했지만 2655억원에 머물렀다. 저축은행의 중·저신용자 대출이 2년 만에 33.7% 줄어든 셈이다. 그 결과, 저축은행의 전체 신용대출에서 중·저신용자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2.2%에서 1.8%로 쪼그라들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94 이학수 정읍시장, 공직선거법 위반 파기환송심서 '무죄'(종합) 곽두원 2025.03.20 41
5693 대구 군부대 이전터, 첨단산업·의료·교육·국제금융 공간으로 다시 태어 장기적 2025.03.20 47
5692 이복현 "삼성 이니셔티브 지지…삼성SDI 유상증자 신속 심사 창지기 2025.03.20 39
5691 헌법재판소는 민주주의의 가치를 지켜야 할 최후의 보루”라며 “더 이상의 지연 없이 외모재 2025.03.20 57
5690 크래프톤 야심작` 인조이, `배그` 잇는 대형 IP로 크나 블랙몬 2025.03.20 54
5689 윤 대통령 파면”…충북도민 1천명 하루 단식 나선다 다시췌 2025.03.20 60
5688 백병원들 컨트롤타워 '부산시대' 열렸다 체크맨 2025.03.20 64
5687 남3구 토허제 확대·재지정···아파트 갭투자 전면 차단된다 학교장 2025.03.20 48
5686 금요일 전국 대부분 지역 황사 물러가고 대기질 ‘보통’ 엔젤몬 2025.03.20 50
5685 미국에서 최근 몇 달 새 달걀값이 치솟으면서 남부 접경지 자리에서 2025.03.20 60
5684 트럼프·머스크, 핵무기 관리자 이어 항공기 안전 인력도 해고…'무지성' 칼부림? 곽두원 2025.03.20 62
5683 도시의 시공간 배경으로 삶의 진정성 담은 포크레인 2025.03.20 51
5682 실리콘밸리 연구 거점은 국내 연구소와 함께 투트랙으로 운영한다. 현지 사정에 맞춰 에이스 2025.03.20 62
5681 현대모비스, 차량용 반도체 독자 개발 가속…미 실리콘밸리 연구거점 신설 냉동고 2025.03.20 63
5680 이와오 개발자는 기록을 발표한 2023년 상담실 2025.03.20 63
5679 숙박비·식비·교통비’ 등 지원···태안군, ‘한달살이 프로그램’ 운영 안좋아 2025.03.20 56
5678 태나 환경 등 주제의식을 더 깊이 가꾸는 작업도 하려 한다”고 했다. 꽃밭이 2025.03.20 66
5677 의대 교수도 "이런 일 드물다"…멈춘 심장 뛰게한 '35분의 기적 곽두원 2025.03.20 48
5676 현대판 ‘모세의 기적’ 걸으며 축제 즐기자”···보령시, 주꾸미&도다리 대잔치 외톨이 2025.03.20 51
5675 작가 조은필의 미술 세계를 표현한 ‘블루의 변주: 선명한 파란색 무지개 애헤이 2025.03.20 6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