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입덧완화음식 트랜스젠더 지원을 목표로 설립이 추진되는 ‘변희수재단’에 대해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가 설립 허가 안건을 상정해 논의합니다. 인권위는 내일(20일) 오전 서울 중구 인권위에서 제4차 상임위원회를 열고 ‘비영리법인 설립허가 의결의 건’을 상정해 ‘변희수재단’ 설립 허가에 관한 비공개 논의를 진행합니다. 입덧완화방법 앞서 지난해 2월, 군인권센터와 청소년성소수자지원센터 ‘띵동’은 트랜스젠더가 겪는 사회적 차별에 맞서고 지원한다는 목표로 ‘변희수재단준비위원회’를 발족해 지난해 5월 인권위에 산하 비영리법인 설립 허가 신청 서류를 제출했습니다. 인권위는 민법과 ‘국가인권위원회 소관 비영리법인의 설립 및 감독에 관한 규칙’에 따라 법인 설립 허가 신청을 받은 뒤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20일 이내에 허가·불허 처분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지난해 9월 안창호 위원장 취임 이후 약 3개월 간 상임위가 개최되지 않고 지난해 12월에 열린 상임위에서도 변희수재단 건은 상정되지 않는 등 설립 허가 논의가 늦어졌습니다. 설립이 9개월 이상 지연되자, 변희수재단준비위는 지난 12일 “사회적 약자·소수자의 인권을 보장하기 위해 설립된 인권위가 소수자의 인권 증진을 위한 재단의 설립마저 방해하고 있다”라며 안창호 인권위원장을 상대로 행정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인권위 상임위원회는 위원장과 상임위원(김용원·남규선·이충상 위원) 등 4명으로 구성되고 3인 이상 출석·찬성으로 의결하는데, 지난해 사직서를 낸 이충상 상임위원은 휴가 중으로 내일 회의는 근무 중인 3명 모두가 참석·찬성해야 의결됩니다.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실에서 인권위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인권위는 6건의 법인 설립 허가 신청을 받아 5건을 허가했고 1건을 재상정했으며, 부결은 없었습니다. 서미화 의원은 “취임 전부터 선택적 인권 보호의 결의를 내비치던 안창호 위원장의 결정이 우려된다”며 “인권위가 인권 최후의 보루가 아닌 내란 세력의 대피소가 된 상황에, 내일 상임위는 인권위가 보편적 권리로서 모두에게 주어진 인권의 가치를 실현하는 결정을 내릴 마지막 기회”라고 밝혔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98 공정위, 시높시스-앤시스 기업결합 조건부 승인···기업 제출 시정방안 고려한 첫 사례 산화철 2025.03.21 74
5797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 지난해 보수 8억2천만원 이현정 2025.03.21 54
5796 김건희 상설특검’, 野 주도로 본회의 통과 장비룡 2025.03.21 62
5795 삼성SDS, SAP와 클라우드 ERP 사업 협력 강화 모바일 2025.03.21 58
5794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10차 변론에서 대부분의 답변을 거부 초민비 2025.03.21 65
5793 [속보] 헌재 “한덕수 탄핵심판 24일 오전 10시 선고” 이지아 2025.03.21 64
5792 헌재 앞 '계란 테러' 이어 발길질까지…이재정 의원, 경찰 신고 신민아 2025.03.21 80
5791 "쿠데타 그만" 反머스크 운동 확산…테슬라 한달새 17%↓(종합) 곽두원 2025.03.21 64
5790 조지호 “내란 기여 안해…평상시처럼 치안업무” 혐의 부인 피를로 2025.03.21 64
5789 확한 것은 지켜봐야겠지만 당분간은 혼인 건수 증가세 미래산업 2025.03.21 70
5788 10명 中 4명 “가장 거짓말 잘하는 정치인은 이재명” 신혜지 2025.03.21 67
5787 자칭 ‘진보’의 강자 선망 이지아 2025.03.21 54
5786 늘어난 수도량 보고는…독거노인 생명 구한 검침원 닭강정 2025.03.21 62
5785 이 대표가 법관 기피를 신청하면서 대북송금 사건 재판은 지난 전지현 2025.03.21 60
5784 일터에서 눈칫밥 먹는 ‘엘더’? 그대의 꿋꿋함에 박수를 신혜지 2025.03.21 71
5783 트럼프 "이달 푸틴 만날 수도"…젤렌스키 반발에 "실망"(종합) 곽두원 2025.03.21 56
5782 이재명, 법관기피 각하결정 6차례 수령 안해 논란 김인제 2025.03.21 57
5781 “배달은 3000원 더 비싸”...확산되는 ‘이중가격제’ 한경원 2025.03.21 76
5780 이어 “기후 이슈는 당장 해결해야 할 위험임에도 위기를 위기로 인식 그건5산 2025.03.21 79
5779 가세연은 이달 10일 김새론 유족 측 발언을 인용해 김수현 시간이 2025.03.21 7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