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전국꽃배달# 실적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2년 전 수익성을 올리겠다며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에 손을 댄 게 부메랑으로 날아왔다. 재무 건전성이 나빠진 탓에 금융취약계층을 위한 서비스를 늘릴 수도 없다. 서민금융기관으로 불려온 저축은행의 현주소다. # 그렇다고 저축은행들이 본질을 되찾는 작업을 하는 것도 아니다. 저축은행 업계의 방향성을 잡아야 하는 중앙회는 존재감이 없다. 차기 회장 선임 절차를 별다른 이유도 없이 미룬 탓에 '금융위원회'의 눈치를 본다는 눈총만 받았다. # 저축은행이 무너지면 금융취약계층은 대부업체의 문턱을 넘을 수밖에 없다. 저축은행이 서민금융기관이란 '본질'을 하루라도 빨리 되찾지 않으면 민생의 밑단이 무너질지 모른다. 과연 저축은행은 방향성을 찾을 수 있을까. 더스쿠프가 '본질 잃은 저축은행'의 민낯을 해부했다. 저축은행이 위기의 늪에 빠졌다. 서민금융기관이란 본질적 역할은 뒷전으로 미뤄놓은 채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에 열을 올린 탓이다. 팬데믹 국면에서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한 게 결과적으로 악재로 작용했다. 문제는 저축은행들이 자초한 위기의 불똥이 애먼 서민에게 튀고 있다는 점이다. 금융취약계층 사이에선 저축은행과 대부업체가 다를 게 없다는 쓴소리까지 나돈다. 기준금리가 '인하'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10월과 11월에 이어 올해 1월에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총 0.75%포인트를 낮췄다. 그 결과, 3.50%였던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2.75%로 떨어졌다. 하지만 서민이 '인하 효과'를 체감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민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대출금리가 여전히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어서다. 한은 경제통계시스템의 시중은행(신규취급액 기준) 신용대출(500만원 이하)과 주택담보대출(고정형·변동형) 금리의 추이를 살펴보자. 한은이 첫 금리인하를 단행한 지난해 10월 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각각 6.77%, 4.05%였다. 세번째 금리를 낮춘 올해 1월 시중은행의 대출금리는 신용대출 6.49%, 주택담보대출 4.27%를 기록했다. 한은이 세차례나 금리를 인하했지만 신용대출 금리는 고작 0.28%포인트 떨어졌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되레 0.12%포인트 오르는 '역현상'이 발생했다. 시중은행은 "가계부채 증가를 우려한 정부가 대출을 조이라고 압박한 탓이 크다"며 "대출을 억제하기 위해 가산금리와 우대금리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고 항변했다. 대출 속도를 조절하라는 금융당국의 주문에 금리를 높게 유지했다는 거다. 틀린 얘기는 아니다. 기준금리 인하분을 대출금리에 바로 적용하면 가계대출이 다시 급증할 공산이 크다. 문제는 그런 과정에서 시중은행만 배를 불렸다는 점이다. 대출금리는 그대로 둔 채 예·적금 수신금리는 빠르게 낮춘 결과다. 지난해 10월 각각 3.37%, 3.45%였던 시중은행의 예금금리와 적금금리는 올해 1월 3.08%, 3.25%로 0.2~ 0.3%포인트 이상 낮아졌다. 시중은행이 이런 상황이니 제2금융권인 저축은행은 말할 것도 없다. 지난해 10월 6. 03%였던 저축은행 주택담보대출(신규취급액 기준) 금리는 올 1월(5.96%) 불과 0.1%포인트 떨어졌다. 기준금리 인하분(0.75%포인트)의 10분의 1 수준이다. 주담대는 그나마 약과다. 지난해 10월 15.39%에서 12월 15.03%로 하락했던 신용대출 금리는 올해 1월 다시 상승했다(15.20%). 신용점수가 낮거나 소득이 적은 취약차주借主가 저축은행을 주로 이용한다는 걸 감안하면 실망스러운 결과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504 [속보] 대검 “尹 구속취소에 즉시항고 포기 입장 변함없다” 최택 2025.03.19 18
5503 국세청, 연말정산 환급금 이달 18일까지 조기 지급 이성희 2025.03.19 16
5502 민감국가 포함은 외교문제 아닌 연구소 보안 문제 월비릭 2025.03.19 10
5501 국가 승인 통계를 활용한 영유아 사교육비 본조사 모바일 2025.03.19 14
5500 尹이 말해야 끝난다…'헌재 결정 승복' 공방 속 열흘째 침묵 이성희 2025.03.19 12
5499 알맹이 빠진 삼부토건 주가조작 조사 민지아 2025.03.19 8
5498 이 원장은 삼부토건 조사 대상에 김 여사나 원희룡 전 국토부 장관은 포함 간보기 2025.03.19 12
5497 치킨-햄버거 이어 커피까지…“배달앱 주문하면 더 비싸요” 최지혜 2025.03.19 16
5496 인천해양경찰이 13일 해루질을 하다 고립된 60대 2명을 구조했다. 미래산업 2025.03.19 10
5495 ‘보고 싶다’ 1원 씩 200번 전 여친에게 송금…20대 남성 결국 최지혜 2025.03.19 18
5494 해킹 은폐 의혹' 위메이드, 신뢰 회복 요원한 까닭은 로이더 2025.03.19 12
5493 삼부토건 의혹' 여야 공방…"권력형 범죄" vs "김건희 폰커리 2025.03.19 13
5492 향정신성의약품(마약류)인 수면제를 직접 투약하거나 일부 나잇값 2025.03.19 20
5491 안철수 “이재명, 5개 재판 무죄 나오면 그때 출마해라” 김수연 2025.03.19 14
5490 석 결과 초기 신용손실은 2℃ 대응 시나리오가 다른 두 시나리오보다 유리하지 않았다 수이콩 2025.03.19 12
5489 野, 최상목에 최후통첩…“마은혁 내일까지 임명하라” 이현아 2025.03.19 15
5488 다방 관계자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발표로 아파트 거래량과 매매 가격이 상승하고 있지만 다니엘 2025.03.19 15
5487 합성 데이터로 탄생한 '그록3'…환각·결함 우려 괜찮나 곽두원 2025.03.19 11
5486 A씨 변호인은 최후변론에서 “피고인의 잘못 다수인 2025.03.19 8
5485 홍콩·일본 당국도 경고… “탄소중립 없인 금융권 손실 확대 수원왕 2025.03.19 1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