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현대해상 태아보험 사은품최근 외식업계에서 배달 메뉴 가격을 매장보다 높게 받는 ‘이중가격제’가 확산하고 있다. 이중가격제는 점주들의 가격 결정권을 보장하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가격 인상 부담이 커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18일 이디야커피는 배달 플랫폼으로 주문 시 아메리카노를 제외한 음료 가격은 300원, 베이커리나 RTD 음료(용기에 담은 제품)는 500원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카페라떼 라지 사이즈는 4200원에서 4500원, 크로크무슈는 4700원에서 5200원으로 오른다. 이디야커피는 “최근 시장 환경 변화와 배달 수수료 인상으로 가맹점 운영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며 이번 조치의 배경을 설명했다. 치킨 프렌차이즈 업계에서는 일부 점주들이 배달 메뉴 가격을 올렸다. 맘스터치 가맹점 48곳은 배달 메뉴 가격을 평균 15% 인상했다. 맘스터치 본사는 매출 감소를 우려해 이중가격제 도입을 자제하라고 권고했으나 현행 가맹거래법상 개별 가맹점의 가격 정책을 규제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국내 4위 치킨 브랜드 굽네치킨의 일부 가맹점도 대표 메뉴인 ‘고추바사삭’ 등의 배달앱 가격을 최대 3000원까지 인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부터 이중가격제를 도입해서 운영한 곳들도 적지 않다. 롯데리아는 지난해 9월 오프라인 매장과 배달앱 가격을 분리해 적용하기 시작했다. 롯데리아의 시그니처 메뉴인 ‘리아불고기 세트’는 매장에서 7100원이지만 배달앱 주문 시에는 8400원으로 1300원 더 비싸다. 버거킹 와퍼 세트의 매장 가격은 9200원, 배달앱은 1만600원으로 1400원이 추가된다. 메가MGC커피 등 저가 커피 브랜드도 배달 주문 시 500원가량의 추가 비용을 부과하고 있다. 외식업계에서 이중가격제가 확산되는 주요 원인은 배달앱 수수료 부담이다. 최근 소비자공익네트워크가 외식업 점주 5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점주들은 사업장 운영에서 가장 큰 부담을 느끼는 요소로 배달앱 수수료를 꼽았다. 지난달 말에는 교촌치킨 가맹점주들이 교촌에프앤비 본사 앞에서 물류 대금과 배달앱 중개 수수료 인하를 요구하는 집회를 열기도 했다. 배달앱 수수료 논란이 거세지자 일부 배달 플랫폼은 차등 수수료 정책을 도입했지만 가맹점의 부담을 덜어주기엔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다. 배달의 민족은 지난달 26일부터 매출 규모에 따라 중개 수수료를 기존 9.8%에서 2.0~7.8% 수준으로 낮췄다. 쿠팡이츠도 4월부터 차등 수수료 정책을 시행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배민 차등수수료가 적용되더라도 운영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아 부득이하게 배달 가격을 조정하는 가맹점주들이 많다”고 말했다. 정환 건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이중가격제는 업체들의 가격 결정권을 보장하고 소비자들에게는 선택의 폭을 넓혀주는 동시에 가격 부담을 증가시키는 측면이 있다”며 “이중가격제 시행 업체들은 적어도 소비자가 납득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디야커피를 운영하는 한 점주는 “이중가격제 도입으로 소비자들에게 부담시키는 것도 합리적인 방안은 아닌 것 같다”며 “배달 수수료를 낮추는 등 근본적인 해결 방안이 도입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544 군포농협, 상호금융대출금수원시 관계자는 “A씨 내부 감사를 받던 중 클립인 2025.03.19 13
5543 AI 개발부터 상용화까지 전 과정 통합 지원" 아이스맨 2025.03.19 9
5542 개관 앞둔 부산콘서트홀, 시범공연 2분 만에 매진 최진아 2025.03.19 11
5541 공정한 플레이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불법 프로그램 대응 기술을 더욱 강화 상담실 2025.03.19 11
5540 "일하는데 돈이 왜 없어?"…윤성빈 발언에 캥거루족 '뜨끔' 성지혜 2025.03.19 8
5539 공원에 파크골프장(18홀)을 포함한 다양한 체육시설들이 조성될 계획이다. 중고인 2025.03.19 14
5538 배틀그라운드' 올해 개발 계획 발표…"콘텐츠·신기술 추 도면발 2025.03.19 12
5537 금융 공기업 떠나는 2030… 옛말 된 ‘신의 직장’ 민지아 2025.03.19 13
5536 하루 8000보씩 걸었더니 돈 벌었어요…190만명 '이것' 깔았다 최지혜 2025.03.19 14
5535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대한민국의 미래를 선도하는 건강한 기술사 꽃밭이 2025.03.19 20
5534 올해 전세 보증사고 68% 뚝… 갭투자 깡통주택 감소 영향 최혜성 2025.03.19 12
5533 "의사 되면 금방 회수"…'1년 5000만원' 우르르 몰려간 곳 김철중 2025.03.19 17
5532 력 부족 등이 초래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해 나가기 위한 고용노동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수프리모 2025.03.19 15
5531 유상임 장관, 신기술 분야 청년 스타트업 대표들과 간담회 애헤이 2025.03.19 17
5530 여론조사 유불리 ‘고차방정식’ 못 푼 정승윤·최윤홍 이청아 2025.03.19 12
5529 뜰폰사업자협회 "1만원대 5G 20GB 요금제 20여개 선보일것 워크맨 2025.03.19 11
5528 "단열재·창호 싹 다 바꿔야할 판"…건설사들 '처참한 상황' 김덕삼 2025.03.19 12
5527 북한 지령' 받고 활동…'충북동지회' 조직원징역형 확정 신선한 2025.03.19 8
5526 2029년 취업자 수 감소 전환…2033년까지 인력 82만 명 추가 필요 소수현 2025.03.19 8
5525 앞다퉈 해외 가는 이유 있네…삼양 ‘웃고’ 농심 ‘울고’ 곽두원 2025.03.19 16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