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이혼시재산분할알테오젠이 아스트라제네카와 최대 2조원 규모의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지난해부터 제기된 특허 분쟁 우려를 씻어낼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18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알테오젠은 지난 17일 아스트라제네카 자회사 메드이뮨과 ‘하이브로자임’ 플랫폼 기술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계약은 알테오젠의 하이브로자임 플랫폼 기반 인간 히알루로니다제(ALT-B4)를 적용한 아스트라제네카 항암 치료제의 피하주사제형 개발·상업화에 대한 것으로, 알테오젠은 다품목 항암 치료제의 피하주사제형 개발에 대한 독점적 글로벌 개발 권리를 아스트라제네카에 부여했다. 총 계약 규모는 13억달러(한화 약 1조9000억원)다. 계약금 4500만달러(약 652억원)와 개발·규제·판매 관련 마일스톤이 포함됐으며, 해당 제품이 판매되면 추가로 정해진 비율의 로열티를 수령하게 된다. 알테오젠은 아스트라제네카와의 대규모 기술 수출 계약을 통해 600억원 이상의 계약금을 수령할 뿐 아니라, 지난해부터 제기된 특허 분쟁 우려에서도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서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알테오젠 파트너사인 미국 머크(MSD)가 ALT-B4를 활용해 제품을 개발하는 것을 두고 할로자임이 자사 같은 기술에 대한 특허 침해 소송을 제기할 것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후 머크는 미국 특허청에 할로자임을 상대로 특허무효심판을 청구하기도 했다. 업계는 할로자임 특허 분쟁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남았다면 이 같은 계약이 성립될 수 없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신한투자증권 엄민용 연구원은 “알테오젠은 아스트라제네카와 총 3개 SC(피하주사 제형) 개발에 대해 2조원 규모 계약을 체결했다”며 “머크 키트루다SC 매출액 대비 계약 규모와 계약금은 역대 최대 수준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공시로 할로자임과 특허 분쟁 이슈가 완전히 해소됐다”고 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22 코브에서 불어온 ‘바람의 그림’ 시간이 2025.03.19 10
5621 “어리다고? 체육 인생 35년…건강한 소통에 앞장서겠다” 곽두원 2025.03.19 7
5620 기아, 차량 디스플레이에 설치하는 ‘KBO 디스플레이 테마 강릉소녀 2025.03.19 9
5619 변희수 울리는 인권위, 어떻게 다시 설까 이수민 2025.03.19 13
5618 사진예술 갤러리로서 스페이스 이신은 사연이 더 풍성했다. 조 씨는 “원래 호혀허 2025.03.19 11
5617 K문학, 노벨문학상 한 번 받고 시들어버릴 위기에 처했다 최혜민 2025.03.19 13
5616 사진 전시회·인문강좌 갈증 풀어준 옹달샘 지혜노 2025.03.19 7
5615 현대차그룹, 본사 빌딩 GBC에 축구장 2배 크기 녹지공간 만든다 크리링 2025.03.19 13
5614 ‘쓰레기 줄이기’ 실천자들이 비빌 작은 언덕 오가원 2025.03.19 12
5613 한국 미술의 세계 진출을 견인한 김병기의 업적을 기리는 학술 세미나도 오는 22일 가나아트센터에서 열린다 피콜로 2025.03.19 15
5612 ‘다수결’ 말고… 모두를 초대하는 정치 사이훈 2025.03.19 14
5611 김종영의 조각 ‘작품 65-2’는 비엔날레 출품작이자 리움미술관 그룹보이 2025.03.19 6
5610 특히 도는 중·대규모 농가 중심으로 참여자에게 실질적 소득 보장을 지원하기로 했다 헤헤로 2025.03.19 11
5609 [신동아 만평 '안마봉'] 2025년 전쟁 종막이 고대된다 곽두원 2025.03.19 11
5608 김병기가 그들을 불렀다, 1965년 상파울루에서, 그리고 지금 비에이치 2025.03.19 11
5607 ‘고령 운전’ 우려 커지는데… ‘운전면허 반납’만이 과연 답일까? 공지현 2025.03.19 16
5606 노인 기준은 몇살부터?…“현재 72세, 12년전 65세 수준” 김수연 2025.03.19 14
5605 앞서 지난해에는 유압 부품 전문 기업인 두산모트롤을 인수한 데 더해 배터리 팩도 직접 개발 미역김 2025.03.19 11
» 2조원 기술 수출 ‘잭팟’ 알테오젠, 특허 분쟁 우려도 씻나 수원지 2025.03.19 18
5603 40개 의대 '21일까지 휴학계 반려' 합의…유급·제적 등 김서정 2025.03.19 8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