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안산개인회생헌법재판소가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 사건 선고기일을 24일로 지정하면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는 이르면 다음 주 후반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 총리 탄핵 심판은 일부 쟁점이 윤 대통령 사건과 맞물려 있어 다음 주 예상되는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의 가늠자가 될 것이란 분석이다. 헌재는 20일 한 총리 탄핵 심판 선고기일을 24일 오전 10시로 지정하고 대리인단에 통보했다. 윤 대통령 사건에 대해선 이번 주 내 기일 공지는 없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법조계에서는 이르면 27~28일이 윤 대통령 사건 선고일로 거론된다. 한 총리 선고 보면 재판관 비상계엄 판단 보인다 한 총리 탄핵 사건은 비상계엄에 대한 헌법재판관들의 판단을 미리 엿볼 수 있어 윤 대통령 탄핵 심판 가늠자로 꼽힌다. 국회 측은 한 총리 탄핵소추 사유로 △김건희·채 해병 특검법 거부권 △비상계엄과 내란 공모·묵인·방조 △한동훈·한덕수 공동 국정운영 시도 △내란 상설특검 임명 회피 △헌법재판관 임명 거부 등을 들었다. 한 총리 탄핵소추 사유에 내란 공모 등이 포함돼 있어 윤 대통령 사건과 일부 쟁점이 겹친다. 한 총리 선고 기일이 정해졌다는 것은 내부적으로 비상계엄에 대한 판단이 정리된 것 아니겠냐는 해석이다. 다만 헌재가 상대적으로 쟁점이 단순했던 한 총리 사건을 먼저 선고한 뒤 윤 대통령 사건 논의를 더 이어갈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 윤 대통령 사건 선고가 4월 초까지 늦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헌법재판소 연구관 출신 노희범 변호사는 "한 총리 탄핵 심판을 먼저 선고하자는 주장이 많이 있어서 윤 대통령 탄핵 선고가 늦어졌다고 추정할 수 있다"며 "한 총리까지 선고하면 윤 대통령 선고도 안 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 총리 복귀 땐 마은혁 임명 결정해야…尹 선고 변수 한 총리 탄핵 심판 결과는 헌재 구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한 총리 탄핵소추 사유 중에선 헌법재판관 임명 여부가 가장 쟁점으로 꼽힌다. 앞서 헌재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마은혁 후보자 임명 보류 권한쟁의 사건에서 최 대행이 마 후보자를 임명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같은 맥락에서 헌재는 한 총리가 헌법재판관 후보자 3명을 임명하지 않은 것도 잘못이라고 판단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법조계는 재판관 미임명이 탄핵에 이를 정도로 중대한 잘못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탄핵 기각 결정이 나올 경우 한 총리가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을 거부해 왔던 한 총리가 마 후보자 임명을 계속 미룰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 총리가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전 마 후보자를 임명한다면 헌재는 '9인 완전체'가 된다. 재판관들이 마 후보자를 윤 대통령 사건 선고에 참여시키기로 결정할 경우 변론 갱신 절차를 거치면서 일정 지연이 불가피하다. 9인 체제에선 재판관 3명이 반대해도 탄핵이 인용된다. 헌재는 24일 한 총리 탄핵 심판 사건만 선고하고 의결정족수 권한쟁의 심판에 대해선 선고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하지만 한 총리 탄핵 사건을 선고하려면 의결정족수에 대한 판단도 불가피하다. 국회는 대통령 권한대행 신분이던 한 총리를 탄핵하면서 총리 탄핵소추 기준인 의결 정족수 151명을 적용했는데, 헌재가 대통령 탄핵소추 정족수인 200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한 총리 탄핵소추 자체가 무효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권한대행 승계와 함께 조한창·정계선 헌법재판관 임명까지 무효가 될 가능성도 있다. 한 총리가 복귀하면 여권을 중심으로 이 같은 주장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38 총가구수·일반분양 다 늘었다… 목동5단지 '신바람' dodo 2025.04.24 71
6537 세종시 '로또 청약'에 LH 사이트 마비…당첨 땐 얼마 벌기에 dodo 2025.04.24 48
6536 "시세보다 너무 비싸요"… 외면 받는 메이플자이 보류지 dodo 2025.04.24 68
6535 토허제 재지정 한달… 꺾이지 않는 '강남불패' dodo 2025.04.24 42
6534 1분기 상가 부동산 침체 지속…오피스는 수익률·공실률 동반 개선 dodo 2025.04.24 72
6533 전국 땅값 0.5%↑…상승률 1위 찍은 '이곳' dodo 2025.04.24 44
6532 "10개 중에서 2개도 안 팔려"…서울 상가 '찬밥 신세' dodo 2025.04.24 80
6531 ‘강남3구’ 제친 세종 아파트값 0.23% ‘쑥’…2주 연속 상승 dodo 2025.04.24 72
6530 미세먼지 많은 날 태양 2025.04.24 75
6529 vcv vcv 2025.04.24 72
6528 "옆 단지 환급금이 1.5억 더 많다고?"…목동 주민들 뿔났다 dodo 2025.04.24 75
6527 "우리 단지엔 진짜 없어요?"…요즘 아파트 필수시설 뭐길래 dodo 2025.04.24 85
6526 상가 경매 시장 '찬바람'…"경매 10건 중 낙찰 2건도 안돼" dodo 2025.04.24 73
6525 '떨이'로 전락한 상업용 부동산… 법원경매 15년만에 최다 dodo 2025.04.23 79
6524 목동 신시가지 재건축 ‘잰걸음’…거래량 상승 이어 신고가 거래 속출 dodo 2025.04.23 65
6523 미아동 노후주거지, 1200가구 대단지로 dodo 2025.04.23 69
6522 신탁방식 정비 수주 열 올렸는데… 신탁사 자기자본 규제 강화에 재건축 중단 우려 dodo 2025.04.23 67
6521 10개월 만에 집값 4.5억 '껑충'…재개발 기대에 들썩이는 동네 dodo 2025.04.23 67
6520 제멋대로 분양가·공사비 산정에 목동 1~3단지 정비계획 몸살 dodo 2025.04.23 65
6519 용산 정비창 전면1구역 `첫 삽` 누가 뜰까 dodo 2025.04.23 7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