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대구휴대폰성지서울 마포구에 사는 우예슬(22)씨는 최근 인체유두종바이러스(HPVㆍ자궁경부암 등의 원인) 백신 '가다실9'를 접종하기 위해 집 근처 산부인과를 방문했다. 예슬씨는 친구가 60만원을 내고 백신을 맞았다는 얘기를 들었지만, 이곳에서는 "75만원을 내야 한다"는 안내만 거듭했다. 예슬씨는 어쩔 수 없이 집에서 50분 거리에 있는 병원을 방문했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곳을 수소문해서 찾아냈다. 그는 "일정 기간에 3차례 접종을 해야 하는데 병원이 집과 멀어서 번거롭다"며 "그래도 똑같은 백신을 더 비싼 돈을 주고 맞고 싶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HPV 감염으로 인한 환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서영석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HPV 대표 질환인 자궁경부암 환자는 2020년 6만1892명에서 2023년 7만109명으로 13.3% 증가했다. 지난해 1~8월엔 6만186명으로 집계됐으니, 연간으로 보면 2023년보다 늘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HPV의 또다른 질환인 두경부암과 구인두암 환자도 2020~2023년 각각 7.0%(41만7020명→44만6322명), 14.4%(5814명→6651명) 증가했다. 지난해 1~8월엔 두경부암 환자 38만3921명, 구인두암 환자는 6002명이었다. [※참고: HPV는 인체유두종바이러스로 성 접촉을 통해 감염된다. 대표적으로 자궁경부암, 두경부암, 구인두암, 외음부암, 질암, 항문암 등의 질환을 유발한다.] 이처럼 HPV 관련 환자는 계속 늘고 있지만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백신(가다실9) 가격은 천차만별이다. 일례로 서울 은평구에 있는 A병원은 가다실9 1회 접종 비용이 18만원이었다. 반면 마포구에 있는 B병원은 1회 접종 비용이 27만원으로 10만원 가까이 비쌌다. 가다실9는 총 3차례 접종해야 하기 때문에 A병원을 이용할 경우 54만원, B병원을 이용할 경우 81만원의 비용이 든다. 똑같은 백신을 맞는데, 가격 차이가 27만원에 이른다는 거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온라인에선 '가다실9 저렴하게 맞는 곳 추천해주세요' '동네에서 가다실9 가장 저렴한 병원 어디인가요' 등의 질문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비단 HPV 백신만이 아니다. 독감ㆍ대상포진ㆍ장티푸스 등 다른 백신 역시 병원별로 가격차가 컸다. 독감 인플루엔자의 사례를 살펴보자. 독감은 2016년 이후 최대 규모로 확산 중이다. 질병관리청은 의원급 300곳의 독감 의사환자擬似患者(독감 증상을 보이는 의심환자)를 표본감시한 결과, 외래환자 1000명당 73.9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2024년 52주차ㆍ12월 22~28일 기준). 2016년 외래환자 1000명당 86.2명을 기록한 이래 8년 만의 최대치다. 그만큼 독감 환자가 늘어났다는 건데, 공교롭게도 독감 백신 가격은 2만~4만원대로 일률적이지 않았다. 4인 가족이 모두 독감 예방 접종을 할 경우 가격 차이는 8만원대에서 16만원대로 벌어진다. 어느 병원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비용 부담이 달라지는 셈이다. 그렇다면 병원마다 백신 접종 가격이 다양한 이유는 무엇일까. 백신 접종은 건강보험을 적용하지 않는 '비급여 항목'이어서다. 비급여 항목은 가격 기준과 규제가 없어 의료행위 비용을 의료기관이 자율적으로 산정한다. 문제는 비급여 항목의 예방 접종을 부담스러워하는 사람들이 숱하다는 거다. 그러다보니 백신가격이 저렴한 병원을 찾아 1시간 이상 이동하는 일명 '원정 접종'까지 일어나고 있다. 해결방법은 없을까. 전문가는 국가예방접종지원사업(National Immunization Programㆍ이하 NIP)의 방향성을 전환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우리나라에선 2009년부터 감염병을 예방ㆍ관리하기 위해 국가예방접종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모든 비용을 국가가 부담하는데, 소아를 중심으로 운영 중이다. 성인 대상 접종은 제한적이다. 고령층이 무료로 접종할 수 있는 백신도 독감과 폐렴 두 종류뿐이다. 엄중식 가천대길병원(감염내과) 교수의 말을 들어보자. "NIP를 확대하면 더 많은 사람이 백신 접종을 할 수 있다. 그렇게 접근성을 높여야 접종률이 올라가 질병 관리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다. NIP의 핵심은 사람 사이에 질병 전파를 예방하고, 공동체의 집단면역을 기르는 거다. 그만큼 성인 백신 접종도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선 그 이로움의 평가와 이해가 부족하다." 금전적 부담이 백신 접근을 막는 장벽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NIP 대상과 백신 종류를 확대해야 한다는 얘기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81 “라떼는 더 안낳아야 우선 분양, 이젠 아이 낳으면 집 먼저” 청약 변천사 dodo 2025.05.06 0
6680 전세가율 역대 최저, 이유는? 강남 아파트가 너무 올라서 dodo 2025.05.06 0
6679 대한토지신탁, 금정4구역 재개발 사업시행자 지정 고시 dodo 2025.05.06 0
6678 올해만 6천억 껑충… 공공주택, 불어나는 공사비에 '흔들' dodo 2025.05.05 0
6677 토허제·조기 대선정국에 휩쓸린 서울 아파트시장 dodo 2025.05.05 0
6676 '애물단지' PF사업장… 강남권 경매물건도 안팔려 dodo 2025.05.05 0
6675 강남 한채 팔면 도봉에 네채… 다주택자 규제가 더 벌려놨다 dodo 2025.05.05 0
6674 IMF때 만큼 심각한 건설업 불황.. 생산 줄고 수주는 마이너스 전환 dodo 2025.05.05 0
6673 반도체 낙수효과 실종…평택·화성·수원 경매 쏟아진다 dodo 2025.05.05 0
6672 “그때 분양받자 했지” 10년 새 4배 뛴 마곡, 20억 신고가 dodo 2025.05.05 0
6671 4억 아파트 16억에 팔았어요…공공분양 시세차익 ‘눈길’ dodo 2025.05.05 0
6670 "분양 안돼"…민간참여 공공주택 사업 '빨간불', 재공고 이어져 dodo 2025.05.05 0
6669 전국적으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대화재 김재선 2025.05.05 0
6668 사람의 생애에서 보이는 시련 장정민 2025.05.04 0
6667 전국서 월세 비중 가장 높은 곳 봤더니…서울 아닌 ‘이 곳’, 왜? dodo 2025.05.04 0
6666 서울 아파트시장 '큰손' 30대에서 다시 40대로 dodo 2025.05.04 0
6665 누가 대통령 돼도 GTX·청년주택 속도전 dodo 2025.05.04 0
6664 주택임대 64%가 월세…월세 비중 가장 높은 곳은 서울 아닌 제주, 왜? dodo 2025.05.04 0
6663 돈 써야 할 때 은행 찾는 기업들…10억 넘는 예금, 800조 돌파 dodo 2025.05.04 0
6662 24평이 작년 34평 가격 뛰어넘은 '래미안 원베일리' dodo 2025.05.04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