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 확대 지정과 같은 규제 정책에 올해 들어 꾸준히 증가하던 서울 아파트의 '상승 거래' 비중이 이번 달 들어 꺾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7일) 부동산 정보업체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4월 서울 아파트의 상승 거래 비중은 45.3%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월보다 4.1%포인트 하락한 수치입니다.
상승 거래는 월간 기준 직전 달보다 높은 가격에 이뤄진 거래를 말하는데, 그 비중이 줄어든 것은 올해 들어 처음입니다. 서울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은 지난해 11월 46.1%에서 같은 해 12월 40.9%로 감소했다가, 올해 1월 44.3%→2월 48.2%→3월 49.4% 등으로 매월 꾸준히 늘어났습니다.
오창 더본칸타빌
상승 거래 비중이 줄면서 하락 거래 비중(36.3%)은 전월 대비 3.7%포인트 증가했으며, 보합 거래 비중도 지난 3월 17.9%에서 이달 18.4%로 늘었습니다. 최근 가격 상승에 따른 부담이 늘고 서울 강남 3구와 용산구로 토허구역이 확대 재지정되면서 시장 관망세가 짙어진 것이 주 원인으로 풀이됩니다.
오창 더본칸타빌
다만 전체적인 상승 거래 감소에도 강남구 등 토허구역 대상 지역에선 오히려 상승 거래 비중이 확대되기도 했습니다. 강남구는 이달 상승 거래 비중이 80%로, 직전 달(60%)보다 급증하며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지속했습니다. 송파구도 상승 거래 비중이 전월보다 4%포인트 증가한 53%로 나타났으며 용산구도 3월 58%에서 이달 67%로 늘어났습니다.
실제로 지난 13일 잠실 우성아파트 전용면적 131㎡가 직전 거래(3월31일, 20억8천만원)보다 51% 오른 31억5천만원에 거래됐으며 압구정 한양1차 78㎡는 지난 12일 직전(3월29일, 47억5천만원)보다 26% 오른 60억원에 실거래 신고됐습니다. 대치동 쌍용대치2단지 84㎡도 지난 1일 직전(1월9일, 29억4천만원)보다 6% 오른 31억2천만원에 매매됐습니다.
종전 가격보다 비싼 가격에 거래된 단지를 보면 재지정 이전부터 토허구역에 속해 한 달여 만에 확대 재지정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달리 토허구역 재지정으로 풍선 효과가 우려됐던 양천구(55→53%), 광진구(54→24%), 동작구(54→50%), 성동구(50→46%), 마포구(49→44%), 중구(47→29%), 서대문구(43→38%) 등은 상승 거래 비중이 줄었습니다. 현재의 상승 거래 비중 감소세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과 공급 부족 리스크 등에 따라 흐름을 달리할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