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인천의 건설공사 지역업체 수주율이 ‘3년 연속’ 전국 꼴찌를 기록했다. 지역 건설업계 안팎에서는 해마다 이 같은 문제가 반복하고 있는 만큼, 지역업체 수주율을 높일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27일 인천시와 통계청 건설업 조사 등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인천의 종합·전문건설업체가 인천에서 이뤄진 건설 공사를 맡은 ‘역내 수주율’은 21.9%에 그친다. 인천에서 이뤄진 전체 공사금액 21조6천550억원 중 지역업체가 수주한 금액은 4조7천360억원 뿐이다. 이는 전국 평균 40.2%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세종에 이어 전국 최하위다.
앞서 인천의 2021년 역내 수주율은 22.3%로 전국 평균(42.8%)에 미치지 못했고 2022년에도 20.9%로 전국 평균(40.7%)의 절반 수준에 머무는 등 2023년까지 3년 연속 인천은 전국 최하위에 머물고 있다.
특히 인천의 건설 공사액은 경기(95조8천78억원), 서울(37조6천69억원)에 이어 전국에서 3번째로 크다. 이처럼 공사 규모는 크지만, 정작 인천업체는 20% 수준의 공사만 맡고 타 지역 업체에 일감을 뺏기고 있는 셈이다.
남사 힐스테이트
시는 이 같은 역내 수주율 저조 현상에 대해 인천의 건설 업체들이 경기·서울과 비교했을 때 대형건설업체가 적어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용인 남사 힐스테이트 또 지리적으로도 가깝다 보니 인천에서 발주한 공사에 경기·서울의 업체들이 수주전에 뛰어들기 쉽고, 이후 하도급까지도 경기·서울의 업체들이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지역 안팎에선 건설산업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인천 건설공사의 역내 수주율을 높일 수 있는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대한전문건설협회 인천시회 관계자는 “인천에서 하는 공사만큼은 인천 업체들끼리 경쟁해야 해야 하는데, 경기·서울 업체에 일감을 많이 뺏기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경기·서울에 비해 업체 수도 적다 보니 사실상 공사를 많이 수주하는 것이 쉽지 않은 현실”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인천의 우수한 건설업체를 중심으로 인천의 역내 수주율을 높일 수 있도록, 지자체 등이 나서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방안 등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