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건설경기 침체로 국내 주요 건설사들의 매출이 감소하는 등 1분기 성장세가 약해졌다. 그나마 DL이앤씨, 대우건설, HDC현대산업개발은 영업이익이 증가하면서 수익성 개선에 힘을 쓴 모습이었다. 반면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은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감소하며 아쉬운 성적표를 받았다.
30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 순위 1위인 삼성물산은 건설부문 1분기 매출액이 3조 62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무려 35.2% 쪼그라들었다. 국내외 대형 프로젝트 준공과 반도체 공장 물량 감소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영업이익 역시 1590억원으로 전년동기보다 52.8% 급감했다.
현대건설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모두 쪼그라들었다. 1분기 매출액은 7조 4556억원으로 12.8% 줄었고, 영업이익은 2137억원으로 14.8% 감소했다. 공사비 급등기에 착공한 현장이 준공되면서 수익성이 일시적으로 악화했다는 게 현대건설의 설명이다. 현대건설은 작년 1조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하며 빅배쓰를 단행했는데 증권 업계에선 올해부턴 실적 턴어라운드 기대감이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영업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감소했지만 1900억원대로 예측했던 컨센서스를 상회했기 때문이다.
여타 건설사들도 전반적으로 매출 규모는 줄었지만 영업이익 개선에 안간힘을 쓴 모습이다. 대우건설의 1분기 매출은 2조 767억원으로 전년 대비 16.5%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1513억원으로 31.8% 증가했다. 주택건축과 플랜트 부문의 수익성 개선이 실적을 견인했다. 이 역시 영업이익 컨센서스 850억원을 상회했다.
DL이앤씨는 1분기 매출 1조 8082억원, 영업이익 810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1%, 33% 증가했다. DL이앤씨는 주택·토목·플랜트 부문이 고르게 실적을 내며 포트폴리오 다변화 전략의 성과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1분기 연결 기준 원가율은 89.3%로, 3개 분기 연속 90% 이하를 유지하며 수익성 안정성을 확보했다.
남사 힐스테이트
HDC현대산업개발도 양호한 실적을 거뒀다. 1분기 매출은 905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2%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540억원으로 29.8% 증가했다. 서울 노원구 월계동에 공급하는 ‘서울원 아이파크’의 매출 증가와 ‘수원아이파크시티 10단지’ 준공 등 자체 주택사업이 실적을 견인했다. GS건설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의 실적을 기록했다. 1분기 매출은 3조 629억원으로 0.26% 줄었고 영업이익은 70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2% 감소했다.
건설업황 악화로 실적 개선이 어려워진 가운데 건설사들간 신규 수주를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삼성물산은 올해 도시정비사업 수주 목표액 5조원을 넉 달만에 달성하는 등 속도를 내고 있다.
한남4구역 재개발(1조5695억원), 신반포4차 재건축(1조310억원), 장위8구역 공공재개발(1조1945억원)을 비롯해 광나루현대 리모델링 사업을 따내며 총 5조 231억원의 수주액을 달성했다. GS건설도 1분기 신규 수주가 4조 6553억원으로 1년 전보다 41% 증가했다. 대우건설도 1분기 신규 수주는 2조 8238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2조 4894억원) 대비 13.4% 증가했다.용인 남사 힐스테이트 현재 45조 129억원의 수주 잔고를 보유하고 있다. 이는 연간 매출액 대비 4.3년치의 일감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