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일본 전국에는 인구 감소, 고령화 등으로 인해 방치된 빈집이 빠르게 늘고 있다. 특히 소유자가 불명확하거나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빈집은 주변 환경을 악화시키고, 자연재해 시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 3일 HUG주택도시금융연구원 송기백 연구위원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일본 국토교통성은 빈집 증가에 따른 도시 미관 훼손, 안전 위험, 지역 공동체 붕괴를 막기 위해 ‘빈집대책특별조치법’을 개정하고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경기광주역 민간임대 일본 정부는 지자체에 빈집 실태 조사를 실시할 권한을 부여하고, 위험성이 높은 빈집에 대해서는 소유자에게 ‘지도’와 ‘권고’를 통해 개선을 요구할 수 있도록 했다. 만약 소유자가 이에 불응할 경우 ‘명령’을 통해 강제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빈집을 철거하거나 행정 대집행에 들어갈 수도 있다. 또 소유자가 불명확한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을 정비했다. 과거에는 소유자가 불분명한 부동산에 대해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조치를 취하기 어려웠으나, 최근에는 불분명 소유 부동산에 대한 공공관리 절차를 명확히 해, 안전상 문제가 있는 빈집은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됐다. 재정 지원도 확대되고 있다. 지자체가 빈집 정비 사업을 추진할 경우 보조금을 지원하고, 빈집 철거·리노베이션 비용에 대한 세제 혜택도 마련했다. 특히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빈집을 철거하면 고정자산세 감면을 적용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경제적 유인을 제공해 자발적 정비를 유도하고 있다. 일본은 단순한 빈집 철거를 넘어, 빈집을 지역 활성화 자산으로 재활용하려는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빈집을 활용해 커뮤니티 시설, 청년 주택, 관광 거점으로 전환하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경기광주 임대아파트 이는 지방 소멸 위기에 직면한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으려는 전략이기도 하다. 경기광주역 민간임대 일본 국토교통성 관계자는 “빈집 문제는 단순한 도시 미관이나 안전 문제를 넘어 지역 존속과 직결된 문제”라며 “빈집을 둘러싼 다양한 상황에 맞춰 유연하고 종합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송 연구위원은 "한국 역시 고령화와 지방소멸 현상이 심화되면서 빈집 문제가 점차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전문가들은 일본 등의 해외 사례를 참고해 법제도 정비와 함께 적극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고, 빈집을 지역 재생 자산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72 “그때 분양받자 했지” 10년 새 4배 뛴 마곡, 20억 신고가 dodo 2025.05.05 0
6671 4억 아파트 16억에 팔았어요…공공분양 시세차익 ‘눈길’ dodo 2025.05.05 0
6670 "분양 안돼"…민간참여 공공주택 사업 '빨간불', 재공고 이어져 dodo 2025.05.05 0
6669 전국적으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대화재 김재선 2025.05.05 0
6668 사람의 생애에서 보이는 시련 장정민 2025.05.04 0
6667 전국서 월세 비중 가장 높은 곳 봤더니…서울 아닌 ‘이 곳’, 왜? dodo 2025.05.04 0
6666 서울 아파트시장 '큰손' 30대에서 다시 40대로 dodo 2025.05.04 0
6665 누가 대통령 돼도 GTX·청년주택 속도전 dodo 2025.05.04 0
6664 주택임대 64%가 월세…월세 비중 가장 높은 곳은 서울 아닌 제주, 왜? dodo 2025.05.04 0
6663 돈 써야 할 때 은행 찾는 기업들…10억 넘는 예금, 800조 돌파 dodo 2025.05.04 0
6662 24평이 작년 34평 가격 뛰어넘은 '래미안 원베일리' dodo 2025.05.04 0
6661 토허제 풀리자 서울 아파트 우르르 샀다…매수 제일 많이한 세대는 dodo 2025.05.04 0
6660 비트코인 10만달러 목전…전고점 넘을까 dodo 2025.05.04 0
6659 서울 아파트값 올랐는데…'노도강'은 마이너스 dodo 2025.05.04 0
6658 오락가락 ‘토허제’…서울마저 양극화 dodo 2025.05.04 0
6657 “한방에 3억 벌수 있는 절호의 기회”...저렴한 물량 쏟아지는 3기 신도시 dodo 2025.05.04 0
6656 '집만 많이 지으면 강남 폭락하나'...결국 '양보다 질' dodo 2025.05.04 0
6655 한국 사회에서 신뢰도 임지훈 2025.05.03 0
6654 “임시공휴일 빨리 발표하면 안 되나요?”…열흘 쉬는 10월 황금연휴는? dodo 2025.05.03 0
6653 3개월 만에 8억 껑충…47년 차 잠실 아파트 '40억' 뚫었다 dodo 2025.05.03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