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수주전에 뛰어든 HDC현대산업개발과 포스코이앤씨가 조합원들의 표심을 얻기 위한 파격적인 조건들을 내걸었다. HDC현대산업개발은 금융 조건, 이주비, 공사비, 공사기간, 미분양 대물변제 등 조합원의 실질 부담을 줄이고 수익을 극대화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포스코이앤씨는 조합원의 금융부담을 최소화면서도 조합과 상생할 수 있는 금융 혜택을 공개했다. HDC현산이 제안한 사업비 조달 금리는 CD+0.1%로 도시정비사업 사상 최저 수준이다. 수천억원에 이르는 사업비를 감안하면 금융 이자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조건이다. 조합원 최저 이주비는 가구당 20억 원(LTV 150%)으로 책정했다. 이주비를 초과하는 추가 대출에도 동일한 LTV를 적용한다. 정비사업 역사상 가장 높은 수준이다. 자산 평가금액이 낮은 소규모 소유주도 충분한 이주 자금을 확보할 수 있다는 평가다. HDC현산이 제시한 공사비는 평당 858만원으로, 조합의 예정가(960만원) 대비 100만 원 이상 낮다. 사업성 제고를 위해 경쟁사보다 5843평 넓은 연면적을 포함하면서도 낮은 평단가를 유지했다는 것이 HDC현산 측 설명이다. 공사기간도 경쟁사보다 5개월 짧은 42개월로 제시했다. 아울러 상가와 오피스등 비주거시설에 대한 미분양이 발생할 경우 '최초 일반분양가' 또는 '준공 때 감정가' 중 높은 금액으로 대물변제하기로 했다. 오창 더본칸타빌 단지 설계를 보면 HDC현산은 9개동 설계를 제안했다. 포스코이앤씨(12개동)보다 3개 동 적어 동간 거리와 조경 면적 확보에 유리한 구조다. HDC현산은 삼성물산 리조트부문 조경팀과 협업해 단지 내 머무는 시간을 고려한 주거 환경을 구축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사업비 금융 조건으로 'CD+0.7%'로 제시했다. 조합원의 추가 이주비는 담보인정비율(LTV) 160%를 보장하고 'CD+0.85%'의 조달금리를 적용하기로 했다. 정비사업 최대 규모인 사업 촉진비 1조5000억원에도 추가 이주비와 동일한 금리 기준을 적용한다. 조합원 분담금 납부 방식도 '입주 때 100% 납부' 또는 '입주 후 2+2년 유예 납부' 중 선택권을 제공한다. 어떤 납부 방식을 택해도 입주 전까지 대출 이자가 발생하지 않는 조건이다. 오창 더본칸타빌 조합의 공사비 지급 방식에서도 '분양수입금 내 기성불' 조건을 제안했다. 기성불 조건은 공사 진행률에 따라 공사비를 우선적으로 받는 방식을 말한다. '분양수입금 내 기성불'은 조합이 분양을 통해 확보한 분양 수입 재원 범위 내에 시공사가 공사비를 지급받는 방식이다. 포스코이앤씨는 이 밖에도 △착공 후 공사비 지급 18개월 유예 △입찰 후 공사비 물가 상승 20개월 유예 △제1금융권 5대 은행 협약으로 최저금리 조달 등의 조건도 내놨다. 포스코이앤씨는 평(3.3㎡) 공사비로 평당 894만원을 제시했고 상업시설에서 미분양이 발생한 경우 관리처분가격 기준으로 대물 변제하고, 업무시설은 책임임차를 조건으로 제시했다.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재개발은 용산구 한강로3가 40-641 일대에 지하 6~지상 38층, 12개동에 아파트 777가구와 오피스텔 894가구, 판매·근린생활시설과 업무시설 등을 건립하는 사업이다. 조합은 이달 말 합동설명회를 진행한 후 6월 중순 총회를 열어 시공사를 최종 선정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68 사람의 생애에서 보이는 시련 장정민 2025.05.04 38
6667 전국서 월세 비중 가장 높은 곳 봤더니…서울 아닌 ‘이 곳’, 왜? dodo 2025.05.04 35
6666 서울 아파트시장 '큰손' 30대에서 다시 40대로 dodo 2025.05.04 39
6665 누가 대통령 돼도 GTX·청년주택 속도전 dodo 2025.05.04 33
6664 주택임대 64%가 월세…월세 비중 가장 높은 곳은 서울 아닌 제주, 왜? dodo 2025.05.04 53
6663 돈 써야 할 때 은행 찾는 기업들…10억 넘는 예금, 800조 돌파 dodo 2025.05.04 39
6662 24평이 작년 34평 가격 뛰어넘은 '래미안 원베일리' dodo 2025.05.04 43
6661 토허제 풀리자 서울 아파트 우르르 샀다…매수 제일 많이한 세대는 dodo 2025.05.04 33
6660 비트코인 10만달러 목전…전고점 넘을까 dodo 2025.05.04 35
6659 서울 아파트값 올랐는데…'노도강'은 마이너스 dodo 2025.05.04 33
6658 오락가락 ‘토허제’…서울마저 양극화 dodo 2025.05.04 31
6657 “한방에 3억 벌수 있는 절호의 기회”...저렴한 물량 쏟아지는 3기 신도시 dodo 2025.05.04 42
6656 '집만 많이 지으면 강남 폭락하나'...결국 '양보다 질' dodo 2025.05.04 37
6655 한국 사회에서 신뢰도 임지훈 2025.05.03 41
6654 “임시공휴일 빨리 발표하면 안 되나요?”…열흘 쉬는 10월 황금연휴는? dodo 2025.05.03 43
6653 3개월 만에 8억 껑충…47년 차 잠실 아파트 '40억' 뚫었다 dodo 2025.05.03 52
6652 “큰 집은 꿈도 못 꿔”…작년 신혼부부 청약 경쟁 쏠린 평형 보니 dodo 2025.05.03 48
6651 서울 7000만원 오를 때 꿈쩍도 안 한다…경기·인천 '눈물' dodo 2025.05.03 43
6650 sff fassf 2025.05.03 46
6649 서원석 중앙대 교수 "청년안심주택 공급계획 바꿔야 한다" dodo 2025.05.03 3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