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현대건설이 약 10조 5,000억 원 규모의 가덕도신공항 부지조성사업에서 손을 뗐다. 기술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조건과 더불어 6월 대선을 앞둔 정치적 정국 변화 속에서 정책 리스크를 감수하기 어렵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국책 초대형 인프라 사업에서 민간 대형 건설사가 수의계약 단계에서 자발적으로 이탈하는 건 극히 드문 일이다. 2029년 가덕도 조기개항 목표는 사실상 무산됐고 차기 정권에 따라 사업 존속 여부조차 불투명해지는 상황이 됐다. 가덕도 부지는 전체 면적의 59%가 해상 매립구간이다. 해저 60m 깊이의 초연약지반에 외해(外海) 조건까지 겹쳐, 인천공항은 물론 일본 간사이공항보다도 훨씬 까다로운 시공 환경이다. 실제로 간사이공항은 수십 년에 걸친 사전 조사와 보강에도 완공 이후 문제가 발생해 보수공사를 한 바 있다. 가덕도는 그보다 기술적 위험이 크다. 또 최대 12m에 달하는 고파랑과 태풍 영향까지 겹치는 세계적으로도 유례없는 해상공사 난이도가 설계 연장의 핵심 배경이다.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이러한 현장 조건을 반영해 △케이슨 설치(7개월) △성토 70m △점토층 품질 확보 △활주로 압밀 18개월 등 총 108개월(9년)의 공기 산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국토부는 수의계약 전환 이후 입찰 조건 변경이 불가하다는 국가계약법상 원칙에 따라 설계 보완을 요구했으나, 현대건설 측은 이를 거부했다. 84개월 내 공기를 맞추는 건 안전을 희생하거나 부실시공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이유에서다. 결국 국토부는 수의계약을 중단했고 TF 중심의 정상화 절차로 전환한 상태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평균 250여명의 공항·항만·설계 전문인력이 약 6개월 간 참여해 설계 검토를 한 결과, 불가능하다는 판단이 내려진 것”이라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공사 기간을 2년 추가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불가피한 수순이라는 견해를 내놓고 있다. 정충기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가덕도는 일본 간사이공항 부지와 인천공항이 있는 영종도보다 훨씬 까다로운 지반 조건”이라며 “가덕도는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복합공법이 요구되는 사업이고 간사이 공항도 설계 검토만 수년이 걸렸다”고 평가했다. 현대건설을 포함한 컨소시엄이 수주를 포기한 배경에는 단순한 시공 난이도뿐 아니라, 전략적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현대건설뿐 아니라 컨소시엄이 구성된 대우건설, 포스코이앤씨 역시 기술적으로 어렵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이며, 토목·플랜트 사업 대부분이 정부 기반 공공사업인데 현대건설이 먼저 못하겠다고 한 건 위험을 감수한 선택"이라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가덕도신공항 부지 조성 공사는 재입찰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현대건설의 재입찰 혹은 여러 건설업체가 참여할 수 있는 방안 마련 될 수 있다. 재입찰 시 정부가 요구하는 공기와 공사비가 일정 부분 늘어날 수 있다. 하지만 6월 조기 대선 이후 정권 교체 여부에 따라 공항 계획 자체가 폐기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정치권 안팎에서 제기된다. 이처럼 차기 정부가 어떤 입장을 취할지 불투명한 상황에서 현대건설이 신속하고 과감하게 선택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용인 남사 힐스테이트 리스크를 떠안고 무리한 계약을 계속 진행하긴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가덕도신공항은 당초 김해공항 확장안이 백지화된 이후 대안 사업으로 등장했으며,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를 거치며 지역 균형발전과 함께 추진돼 왔다. 남사 힐스테이트 가덕도공항 조기 개항을 기다렸던 부산시민단체들은 현대건설 컨소시엄에 대해 반발 중이다. 가덕도신공항 거점항공사 추진 부산시민운동본부는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가덕신공항 공사 2년 연장 기본설계안을 고수하겠다는 것은 수의계약의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더 많은 공사비를 요구하려는 의도로 볼 수밖에 없고, 조기대선 국면에서 정부의 취약성을 악용하는 것으로 규탄받아 마땅하다”고 입장을 냈다. 국토부는 현재 TF를 중심으로 재입찰, 공정 분할, 공공 주도 전환 등 후속 대안을 검토 중이지만 실현 가능성과 사업 시급성 측면 모두에서 명확한 해법을 찾기 어려운 국면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749 건물에너지 줄이면 금리 혜택 ‘덤’으로 dodo 2025.05.11 50
6748 보증금 못 돌려받은 세입자, 임차권등기 완료 前 이사…“대항력 소멸” dodo 2025.05.11 45
6747 '토허구역' 풍선 효과에…서울 마포·강동 대출 비중↑ dodo 2025.05.11 47
6746 건물 에너지 덜 쓰면 우대금리 더 준다... 적금 최대 7.2% 까지 dodo 2025.05.11 48
6745 지방 미분양 '직격탄'…중견 주택 분양 16년 만에 최저 dodo 2025.05.11 49
6744 점주들 반발에… 더본코리아, 지원 규모 300억원으로 확대 eee 2025.05.10 50
6743 "세금으로 소나타 한대값”...난 국민 아니냐? 논란 또 dodo 2025.05.10 47
6742 정책 호재에 고공행진 세종 1.09%↑…서울은 0.38% dodo 2025.05.10 48
6741 “사치도 안하는데 빚더미”…3개월 만에 카드값 3배 불리는 ‘이것’ 주의 dodo 2025.05.10 50
6740 통장 아끼고 동호수는 골라서… ‘힐스테이트 용인마크밸리’ 10일 선착순 계약 dodo 2025.05.10 51
6739 "총 5조 필요"…노후 KTX 교체 정부 지원 법안 본격 추진 dodo 2025.05.10 47
6738 “용돈만 주면 하수” 고수 부모는 아이 통장·카드로 금융 ‘조기 교육’ dodo 2025.05.10 46
6737 5천 가구 넘게 쏟아진다…다음 주 전국 7개 단지서 분양 dodo 2025.05.10 43
» 현대건설은 왜 '10.5조'짜리 가덕도 공항을 포기했나 dodo 2025.05.10 44
6735 행정수도 공약, 아픈 기억?…세종 집값 상승세 둔화 dodo 2025.05.10 41
6734 다주택 규제에 재건축 양극화…'똘똘한 한 채'만 신고가 dodo 2025.05.10 45
6733 '상습 정체' 경기광주 청석로 1.3㎞ 왕복 4차로 확장 dodo 2025.05.10 37
6732 "여보, 우리도 집 사자"…신혼부부들 '돌변' 이곳 무슨 일 dodo 2025.05.09 48
6731 3기 신도시 대장지구 분양 시작…전국 총 6곳, 3017가구 접수 dodo 2025.05.09 38
6730 다이렉트자동차보험비교 다이렉트자동차보험비교 2025.05.09 4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