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서울 주요 상권을 포함해 신도시와 지방까지 상가 공실률이 빠르게 치솟고 있다고 우려한다.
1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서울의 집합상가 공실률은 9.14%였다.쌍용동 민간임대 이는 지난해 4분기 9.08%보다 0.06%포인트(p) 늘어난 수치다.
지역별로 보면 용산역 일대 공실률이 37.53%로 가장 높고 청량리 23.95%, 영등포역 21.77%, 가락시장 20.14% 순이었다.
직전 분기와 비교해 공실률이 많이 늘어난 지역은 서울대입구역으로 9.02%에서 15.01%까지 증가했다. 신사역도 4.42%에서 9.99%까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신도시 택지지구는 상가 과잉 공급으로 공실에 허덕이고 있다는 지적이다. 파주 운정신도시인 금릉역 일대 25.14%, 영종신도시 24.63%, 평촌 신도시인 안양역 일대 24.39%였다. 집합상가 10곳 중 2곳 이상이 공실이라는 의미다. 이는 인천 8.20%, 경기 5.75%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지방의 경우 공실률이 절반에 가까운 곳도 나오면서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는 평가다. 강원 태백중앙시장의 공실률은 43.33%, 광주전남혁신도시 42.23%, 경북김천혁신도시 40.90% 등이었다.
상가 공실은 내수 침체와 자영업자 폐업 증가, 당일 및 새벽 배송 등 e커머스의 고착화 등 온라인 플랫폼의 성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글로벌 명품 브랜드가 즐비한 청담동 명품거리 등 호황을 이어가면서 상업용 부동산 양극화가 심화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된다.
쌍용역 민간임대
이에 정부와 지자체도 상가 공실 문제 해소를 위한 방안을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천안 쌍용동 민간임대 국토교통부는 신도시 상업용지의 공급 및 관리개선 방안 연구 용역에 착수했고, 서울시는 상가 의무 비율 완화에 나섰다.
이에 따라 지난 1월 지구단위계획 구역 내 준주거지역 비주거 비율 10% 기준을 폐지했고, 조례 개정을 통해 상업 지역의 비주거 비율도 20%에서 10%로 완화됐다.
19일 공개된 서울시 도시계획 조례 일부개정조례는 제2종·3종일반주거지역의 소규모 건축물 용적률을 법적상한용적률까지 한시적으로(3년) 완화하고, 상업지역 주거복합건물의 비주거비율을 20% 이상에서 10% 이상으로 완화하는 내용을 뼈대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