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금융당국이 23조9천억원 규모의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중 52.7%인 12조6천억원 규모에 대해 올해 상반기 내 정리·재구조화를 마칠 예정이다. 당국은 지난 1년간의 부실 PF 정리 작업이 상당 부분 마무리됐다고 평가하며 앞으로도 정리·재구조화를 상시로 추진하는 한편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은 22일 '전 금융권 부동산 PF 정리·재구조화 경과 및 그간의 실적'을 발표하고, 올해 3월 말까지 9조1천억원이 정리·재구조화됐으며 4∼6월 중 3조5천억원이 추가로 정리·재구조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이 작년 6월부터 전 금융권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PF 사업성 평가를 한 결과 경·공매 등 정리 및 신규 자금 투입을 통한 재구조화가 필요한 '유의'(C)·'부실우려'(D) 등급 여신은 총 23조9천억원으로 집계했다. 다만 이날 제시한 상반기 예상 정리·재구조화 물량 총 12조6천억원은 당국이 작년 말 발표했던 올해 상반기 목표치(16조2천억원)보다는 3조6천억원가량 적은 수치다. 한구 금감원 부원장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16조2천억원 중 9조원가량이 정리 계획이었고, 나머지가 재구조화 물량이었는데 대주단 교체나 사업 용도 변경, 인허가 등 법적 절차에 시간이 좀 더 소요됐다"며 "목표 대비 3조원정도 재구조화가 지연돼 아직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2분기 중 남은 목표 물량인 3조5천억원도 무리 없이 대부분이 달성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금감원은 양해각서(MOU)를 제출했거나, 추가 자금조달 계약 체결이 임박한 사업장 수를 고려했을 때 2분기 중 중대형 사업장(500억원 이상)에서 1조6천억원 규모의 정리·재구조화가 완료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저축은행의 4차 PF 정상화 펀드에 1조5천억원 규모의 PF 여신 매각이 진행 중이어서 실사와 가격 협의를 거치면 6월 중 매각 절차가 마무리될 예정이다. 금감원이 올해 1월부터 운영 중인 PF 정보공개 플랫폼에 공개된 부실 사업장 중 4천억원 규모도 다수의 매수 의향자가 적극적인 매수 의사를 보이거나 수의계약 체결을 위해 가격협상을 앞두고 있다. 4월말 기준 정보공개 플랫폼에 공개된 사업장은 395개(익스포저 기준 6조5천억원)로, 소송 등 불가피한 사유를 제외한 공개대상 사업장 중 95%가 공개됐다. 금감원은 이에 따라 부실 PF 정리 작업이 상반기 상당 부분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했다. 남사 힐스테이트 정리·재구조화 결과 6월말 잔여 부실은 전체 11조3천억원 수준이다. 이를 업권별로 보면 증권(1조9천억원), 저축은행(9천억원), 은행(1천억원), 여전(1조3천억원), 보험(5천억원), 상호금융 등(6조7천억원) 등으로 상호금융을 제외한 대부분 업권에서 잔여 부실이 1조원 내외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감원은 "업권별 잔여 부실이 안정적으로 관리 가능한 수준에 들어올 것으로 보인다"며 "이로써 향후 PF시장의 급격한 충격 우려를 상당 부분 해소했고 '부동산PF의 질서 있는 연착륙'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 부원장보는 상호금융의 잔여 부실 금액이 타업권 대비 많은 것과 관련해 "새마을금고를 빼더라도 조합 개수가 3천여개인데 금액이 소액이고 대규모 매각을 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하반기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면서 중앙회 등과 협력해서 충당금 적립, 상각 처리, 공동 매각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향후에도 부동산시장 회복 지연 등에 따른 추가 부실 발생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앞으로도 부실 정리·재구조화를 상시 추진할 계획이다. 한 부원장보는 "큰불은 진화했고 나머지는 잔불 처리와 화재 원인을 찾아내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며 "부실 정리가 미진한 개별 금융회사에 현장점검 및 건전성 관리 강화를 유도하고, 향후 현장검사 등을 통해 PF대출 취급 과정상 미비점이 확인되는 경우 즉시 보완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904 청약통장 가입자 반등 후 2만명 재이탈 이유는 dodo 2025.05.24 61
6903 "지금 세종시 아파트 사도 되나요?"…전문가에 물어보니 dodo 2025.05.24 60
6902 자동차보험비교 다이렉트 다이렉트 2025.05.23 57
6901 '임대동 빼고 리모델링'…남산타운 정비사업 속도내나 dodo 2025.05.23 66
6900 서울 집값 변동성 소폭 확대…정부, 토허제 추가 지정 시사 dodo 2025.05.23 59
6899 "실거래가 9일 만에 2억 상승"… 세종 10명 중 4명 외지인 투자 dodo 2025.05.23 64
6898 '한강뷰 임대' 확대 재건축 조합 발칵 dodo 2025.05.23 66
6897 자동차다이렉트보험비교 자동차다이렉트보험비교 2025.05.23 68
6896 우주 사전 2025.05.23 58
6895 과천 집값이 강남 3구보다 더 올라…“재건축 이주 수요가 상승 부추겨” dodo 2025.05.23 61
6894 지방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청약 시장서 '선방' dodo 2025.05.23 61
6893 대선 앞두고 '숨고르기'…전국 1428가구 청약 접수 dodo 2025.05.23 59
6892 대구 단독다가구 주택 전세 거래 절반 이상 급감…35.7→14% dodo 2025.05.23 70
6891 자동차보험비교 다이렉트 다이렉트 2025.05.23 61
6890 건설업계, 내년 SOC 예산 30조 이상 편성 건의 dodo 2025.05.23 64
6889 전세 사기 폭풍 지났나…임차권등기명령 신청 감소세 dodo 2025.05.23 67
6888 양천구, 목동6단지 신사가지 첫 재건축 조합설립 인가…사업 속도 ‘최고’ dodo 2025.05.23 58
6887 100억 넘는 아파트 올해 벌써 14채…슈퍼리치 "믿을 건 역시 부동산" dodo 2025.05.23 63
6886 세종 '묻지마 매수 주의보'… 서울 아파트값은 16주째 상승 dodo 2025.05.22 65
6885 전세 한달새 1억 뚝… 서초도 못 피한 입주장 dodo 2025.05.22 66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