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정부가 집값 안정을 목표로 부동산 대출을 옥죈 '가계부채 관리 방안'을 전격적으로 발표한 지 열흘째인 오늘(6일) 서울 부동산 시장에선 거래 및 집값 상승폭 둔화가 일부 감지되고 있습니다. 과거 문재인 정부 초기에 유사한 정책이 실시됐을 때 부동산 시장 안정 측면에서 단기적인 효과가 있었다는 점에서 새 정부의 이번 대책의 효과도 시간이 지날수록 더 분명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6·27 대책에 대해 "맛보기"라고 언급하고 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바꾸기 위해 추가 규제도 불사하겠다는 강한 메시지를 던진 것도 최근 급격한 상승세를 보여온 서울 아파트 가격의 흐름에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됩니다. 다만 시장에서는 과거 민주당 정부가 고강도 규제를 반복했을 때 집값이 크게 올랐다는 인식이 있는 상황에서 새 정부가 규제 카드를 먼저 사용한 것이 시장 심리에 어떻게 작용할지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정부는 지난달 27일 6억원 이상의 주택담보대출을 금지하는 초유의 대출 규제 정책을 전격적으로 발표하고 다음날(28일)부터 시행에 들어갔습니다. 덕소역 민간임대 이에 따라 서울 지역 아파트의 4분의 3가량(74%)인 127만6천257가구(임대아파트 제외·부동산R114 집계)의 대출 한도가 줄어들게 됐습니다. 평균적으로 서울에서 아파트를 살 때 기존에는 10억2천만원의 대출이 가능했으나 이번 대책으로 4억2천만원이 줄게 됐습니다. 이른바 '영끌'이 사실상 막힌 것으로, 주택 매수 시 6개월 내 전입신고 의무도 생기면서 '갭투자'도 원천 차단됐습니다.덕소역 임대아파트 이러한 정책에 부동산 시장은 바로 반응했습니다. 특히 집값 상승 진원지로 지목된 강남권의 상승폭이 크게 둔화됐습니다. 최근 신고가 경신이 속출하며 뜨거웠던 서울 아파트 시장은 대출 문이 좁아지자 거래량은 물론 매수 문의도 줄어들며 빠른 속도로 관망세로 돌아섰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이 최근 발표한 '6월 다섯째주(6월 30일 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상승률은 0.40%로 전주(0.43%↑) 대비 소폭 줄었습니다. 특히 강남(0.84%→0.73%), 서초(0.77%→0.65%), 송파(0.88%→0.75%), 강동(0.74%→0.62%) 등 강남권은 물론 용산(0.74%→0.58%), 성동(0.99%→0.89%), 마포(0.98%→0.85%) 최근 집값 상승을 주도한 선호지역의 상승폭이 일제히 감소했습니다. 거래량도 급감하는 조짐을 보입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6·27 대책 전 일주일(6월 20~26일) 서울 아파트 거래건수는 총 1천629건이었으나 이후 일주일(6월 27일~7월 3일)은 577건으로 3분의 1 수준입니다. 아파트 실거래가 신고 기간이 한달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후 숫자가 더 늘어날 여지가 있으나 매수 심리 위축에 따른 관망세가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정부가 추가 대책을 시사한 것도 부동산 가격 상승세 둔화 흐름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3일 취임 후 첫 기자회견에서 "이번 대출 규제는 맛보기 정도에 불과하다"라면서 "부동산과 관련된 정책은 많다. 공급 확대책, 수요 억제책이 아직도 엄청나게 많이 남아있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정부의 6·27 대책이 중장기적으로 부동산 시장의 안정으로 이어질지는 아직 불분명합니다. 문재인 정부도 임기 첫해인 2017년 12월 전격적인 대출 규제를 실시했으며 15주 뒤에는 집값이 하락세로 전환되는 등 효과를 냈습니다. 그러나 반년 뒤에는 서울 아파트 가격과 다시 상승세로 반전됐으며 거래량 역시 비슷한 시기에 다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이런 차원에서 전문가들은 당장은 대출 규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공급 대책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입을 모읍니다. 부동산원의 발표에서 강남권의 상승세는 둔화했으나 양천구와 영등포구 등은 기록적 상승세를 보이는 것도 이른바 '풍선 효과'까지 고려한 종합적 대책 필요성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나아가 집값 상승세가 둔화되더라도 공급 부족 상황 속에 전월세 시장도 불안해질 수도 있습니다. 덕소역 민간임대 아파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325 남사 힐스테이트 건설사 현대건설이 삼성물산과 공동으로 연구개발한 건설 현장 자재 운반 로봇 현장 시연회를 지난 3일 현대건설 인천 청라 하나드림타운 현장에서 개최했다고 6일 밝혔다. new dodo 2025.07.06 0
7324 용인남사더클러스터 에 전세 수요가 갑자기 몰리는 가운데 정부가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최대 6억 원으로 제한하는 고강도 규제를 발표한 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1주 만에 65%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new dodo 2025.07.06 0
7323 해링턴스퀘어 리버파크 가 규제제외 단지로서 분양성적이 궁금한 가운데 정부가 주택담보대출의 최대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고 대출 만기도 30년 이내로 축소하는 등 전례 없는 대출 규제(6·27 부동산 대책)를 내놓으면서 부동산 시장의 매수·매도 움직임이 일시 정지됐다. new dodo 2025.07.06 0
7322 빌라 같은 서민 주택도 공급도 줄었다… 서울 주택 공급 부족이 집 값 밀어올릴까 new dodo 2025.07.06 0
7321 용인 남사 민간임대 는 규제이후 더많은 문의가 오는 가운데 초고강도 대출 규제 이후 전세 시장도 냉랭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dodo 2025.07.06 0
7320 이편한세상 천안역 이 오픈 시일을 저울질 중인 가운데 10년간 시세 대비 반값 수준으로 거주할 수 있는 매입임대주택이 공급된다. dodo 2025.07.06 0
7319 서울 부동산 시장 관망세 뚜렷…거래 급감, 계약 취소 속출 dodo 2025.07.06 0
7318 '상투 잡았나' 서울 부동산 계약 취소 속출 dodo 2025.07.06 0
7317 주담대 6억 이하로 묶자… 서울 아파트 거래량·금액 65% ‘뚝’ dodo 2025.07.06 0
» '맛보기' 초강수 대출 옥죄기 열흘째…집값 상승세 둔화 dodo 2025.07.06 0
7315 남사 힐스테이트 처럼 신규아파트로 사람들이 몰리면서 전세사기 사태가 촉발한 비(非)아파트 공급 절벽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dodo 2025.07.06 0
7314 해링턴스퀘어 리버파크 처럼 입지 좋은 분양말고는 실제 새 정부 출범 후 자본시장으로 돈이 몰리고 있다. dodo 2025.07.06 0
7313 ‘10억 로또’ 무순위 청약 전략…“이 정도 현금 없으면 소형 평수 넣으세요” dodo 2025.07.05 0
7312 목동, 대출규제 뚫고 신고가 썼다고?…사실은요 dodo 2025.07.05 0
7311 6억 규제 반사이익? 노도강 매수, 신중해야 하는 이유 dodo 2025.07.05 0
7310 규제피한 남사 힐스테이트 와 달리 추가적인 부동산 규제가 시행될 것이란 불안함으로 인해 강남권 아파트의 매수 심리가 수그러든 것으로 나타났다. dodo 2025.07.05 0
7309 “여기도 비었네”...한달새 경매 313건 ‘공실지옥’ 지식산업센터, 묘안 있다는데 dodo 2025.07.05 0
7308 해링턴스퀘어 리버파크 처럼 새로운 랜드마크 들이 속속 준비중인 가운데 재건축·재개발 정비 사업장의 설계자 선정은 보통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된다. dodo 2025.07.05 0
7307 용인푸르지오 가 기존 주택을 가진 사람들이 신축으로 넘어오려는 수요로 인기를 얻고 있는 가운데 6·27 부동산 대책의 여파로 정비사업의 ‘1+1 분양’ 문제가 다시 논란으로 떠올랐다. dodo 2025.07.05 0
7306 용인 지역 규제전 분양한 남사 힐스테이트 는 연일 방문객으로 북적이는 가운데 4일 서울 강남권 주요 부동산 중개업소는 한산했다. dodo 2025.07.04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