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남사 힐스테이트 는 다주택자도 계약 가능한 가운데 앞으로 재건축·재개발 현장에서 다주택자는 자금 부담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남사 힐스테이트
정부가 다주택자의 부동산 대출을 전면 금지하자 조합도 ‘다주택자는 분담금을 마지막에 잔금 100%로 납부하는 대신 계약금과 중도금을 내는 방식’으로 바꾸고 있어서다.
10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최근 분담금 납부 방식을 ‘잔금 100%’로 정비사업을 추진하던 조합들이 다주택자에게는 계약금과 중도금을 먼저 내야 한다고 통보하고 있다. 2주택 이상 소유자는 대출이 전면 금지돼 입주 때 분담금을 한 번에 정산하는 혜택을 제공할 수 없다는 것이다.
재건축·재개발 사업 때 조합원은 분양가에서 권리가액을 뺀 금액을 분담금으로 내야 한다. 통상 계약금(20%)과 중도금(60%), 잔금(20%) 순으로 나눠 내지만 고금리 등으로 조합원의 금융 비용 부담이 높아지면서 잔금만 100% 지급하는 방식이 늘었다. 조합원은 무이자 대출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셈이다.
하지만 정부 규제로 가계대출이 막히면서 다주택자 조합원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서울 강동구 길동 ‘삼익파크’ 재건축 조합은 최근 2주택 이상 소유 조합원에게 분담금 납부 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공지했다. 다주택자 조합원들은 “잔금 100% 납부 방식이라 재건축에 동의했는데 분양 중에 조건을 바꾸면 어떡하냐”는 반응이다.
추가 분담금을 낼 가능성이 높은 수도권 정비사업 현장도 비슷한 상황이다. 추가 분담금 대출은 정부의 대출 규제 대상에 포함돼 비례율(개발이익률)이 낮게 설정된 사업지는 조합원의 대출 부담이 크게 늘어나기 때문이다.
일부 조합은 규제를 피하기 위해 시공사로부터 추가 사업비 대출을 받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강남권의 한 재건축 조합장은 “추가 이주비 대출은 기존 이주비 대출과 달리 사용 목적에 제한이 없다”며 “일부 조합원이 대체 주택 마련이나 분담금 납부용 대출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용인 남사 힐스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