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정부의 초강력 대출 규제 효과가 가시화하면서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에 제동이 걸렸다.오남역 민간임대 아파트 급등세를 이끌던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한강벨트’ 지역 집값 상승률이 2주 연속 줄어들었다.
1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7월 첫째주(7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29% 오르며 23주 연속 상승했다. 하지만 상승폭은 0.43%→0.40%→0.29%로 2주 연속 줄었다. 정부가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묶는 초강경 6·27 대책을 내놓은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오남역 민간임대
특히 강남구(0.73%→0.34%), 서초구(0.65%→0.48%), 송파구(0.75%→0.38%) 등 강남3구를 비롯한 서울 한강벨트 자치구들의 집값 상승률이 일주일 전에 비해 대폭 축소됐다.
서울 송파구 헬리오시티 전용면적 84㎡(3층)는 규제 발표 직전인 지난달 25일 27억2000만원에 팔리며 신고가를 찍었다. 그러나 규제 직후인 지난 7일에는 같은 평형(23층)이 5억원 이상 하락한 22억원에 중개 거래됐다. 집값 하락기에 세금을 줄이고자 진행하는 증여성 거래라는 추정도 인근 중개업소에서 나왔지만 확실치 않다.
마포구(0.6%), 용산구(0.37%), 성동구(0.7%) 등 마용성 집값 상승률도 주춤했다. 오름세가 여전히 서울 평균 이상이지만 전주 대비 모두 상승폭을 줄였다. 강동구도 0.29% 오르며 전주(0.62%)보다 상승폭이 대폭 축소됐다.
한국부동산원은 “부동산 시장 참여자의 관망 추이 심화로 전반적인 매수 문의가 감소하며 서울 전체 상승폭이 축소됐다”면서도 “일부 신축과 재건축 아파트 등 일부 선호 단지의 상승세는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 집값 상승 우려가 여전한 만큼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동결하는 결정을 내렸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2.5%로 동결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수도권 주택 가격 오름세와 가계부채 증가세가 크게 확대됐고 최근 강화된 가계부채 대책의 영향도 살펴볼 필요가 있는 만큼 현재의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오남역 임대아파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