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남사 힐스테이트 도 최근 방문객이 주춤한 가운데 대출을 강력하게 옥죈 6·27 대책이 수도권 부동산 시장을 시원하게 얼리고 있어요.
자금 조달 능력을 잃은 수요자들이 매매시장에서 관망세로 돌아선 영향이죠.
강남3구(서초·강남·송파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선호도 높은 지역은 물론, 서울 대부분 지역 집값 상승폭이 크게 줄었어요. '풍선효과'가 나타나는 듯했던 양천·영등포·강서·구로구 등도 오름 곡선이 완만해졌네요.
매매시장에서 길을 잃은 수요자들이 전세시장으로 향하면서 임대차시장이 꿈틀거릴 가능성도 높아진 상황인데요. 아직까지는 이렇다 할 변화가 보이지 않지만 전세로 나오는 물량이 감소하는 추세인 만큼 변화 추이는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여요.
한국부동산원은 7월 둘째 주(14일 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이 1주 새 0.19% 올랐다고 분석했어요. 24주 연속 오른 거긴 한데요. 상승폭은 3주 연속 둔화하고 있어요. 전주 변동률인 0.29%에서 0.1%포인트 떨어졌네요.
한국부동산원은 "일부 신축, 역세권 소재 단지 등에서는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매수 관망세가 심화하면서 거래가 감소하는 등 서울 전체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어요.
실제로 오름 곡선 기울기가 가팔랐던 강남3구와 마용성을 비롯해 서울 대다수 지역의 상승률이 떨어지고 있어요. 강남구 아파트값 변동률은 1주일 전 0.34%에서 이번 주 0.15%로 0.19%포인트 낮아졌고요. 서초구도 전주 0.48%에서 0.32%로 0.16%포인트 떨어졌네요.
남사 힐스테이트
특히 변동률 하락 폭이 두드러지는 지역은 마포구예요. 직전 주 0.6%에서 이번 주 0.24%로 0.36%포인트나 내려왔네요. 함께 묶이는 성동구도 한 주 전 0.7%에서 이주 0.45%로 0.25%포인트 하락했어요. 용산구도 전주 0.37%에서 이번 주 0.26%로 0.11%포인트 깎였네요.
그 외에도 재건축 이슈가 있는 양천구와 영등포구가 각각 0.55%에서 0.29%, 0.45%에서 0.26%로 하락세를 나타냈어요.
실거래 사례에서도 위축된 분위기가 감지돼요. 서울 마포구 공덕동 일대 위치한 '마포자이힐스테이트라첼스' 전용면적 84㎡(1층)는 지난 12일 19억291만원에 거래됐어요. 지난달 28일 같은 평형 11층 매물이 25억9000만원에 팔린 것과 비교해 약 2주 만에 6억8000만원가량 내린 거죠. 물론 층수 차이는 있지만요.
윤지해 부동산R114 프롭테크리서치랩 랩장은 "6·27 대책 발표 이후 서울 주택시장은 매도 및 매수인 모두 별다른 움직임 없이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특히 고가시장을 중심으로 아파트 매매가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면서 당분간 '지켜보자'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라고 바라봤어요.
이어 "7월 들어 대출 규제가 본격화하면서 아파트 매매거래 건수와 집값 상승 랠리가 주춤했으나 급매물 출현이 늘거나 매도호가 조정은 크지 않은 상황"이라고 덧붙였어요.
전국 아파트 가격은 1주일 전보다 0.02% 올랐어요. 직전 주 0.04%에서 상승폭이 둔화했네요. 경기 또한 0.03%로 지난주 0.04%보다 낮아졌고요. 인천은 직전 주와 동일하게 -0.03%를 유지했어요. 서울까지 포함한 수도권 변동률은 전주 0.11%에서 0.04%포인트 떨어진 0.07%를 기록했네요.
지방은 큰 변동 없이 동일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어요. 변동률 -0.02%로 59주째 하락세를 보이고 있네요. 세종만 직전 주 보합에서 이번 주 0.03%로 소폭 올랐어요. 그 외에 5대광역시는 -0.04%, 8개도는 -0.01%를 나타냈어요.
6·27 대책 발표 이후 매매시장이 크게 위축되면서 전문가들은 전세시장 추이를 지켜봐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어요. 당분간 시장을 지켜보기로 한 수요자들이 매매 대신 임차를 택할 가능성이 높아서인데요.
아직 변동률에서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고 있어요. 6월 마지막 주(30일 기준) 0.07%에서 지난주 0.08%로 꿈틀하는 듯했던 서울 전세가격 변동률은 이번 주 0.07%로 다시 내려왔고요. 경기 또한 0.03%에서 0.02%로 소폭 하락했어요. 인천은 -0.06%에서 -0.04%로 내림폭을 줄였네요.
서울 내 지역구별로 살펴도 움직임은 두드러지지 않네요. 도봉구가 1주일 전 0.04%에서 이주 0.08%로 상승폭을 키웠고요. 양천구도 0.06%에서 0.08%로 소폭 올랐네요. 다만 성동구의 경우 지난주 전세가격 상승률이 0.17%까지 높아졌다가 이번 주 0.04%로 다시 떨어졌어요.
하지만 전세 매물 증감 추이는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여요.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서울 전세 매물은 1월 1일 기준 3만1814건에서 18일 기준 2만4910건으로 21.8% 줄었어요.
특히 대책이 발표된 6월27일과 비교하면 성북구는 753건에서 588건으로 165건(22%) 감소해 이 기간 서울에서 매물이 가장 많이 빠졌어요. 전국 통틀어도 6번째에 해당하는 수치에요.
윤 랩장은 "매매를 미루고 임대차 시장에 머무르는 수요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임대차시장 자극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어요.
또 "서울 3분기 신축 아파트 입주 물량이 직전 분기 대비 절반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이 막히면서 입주장에서 유통될 수 있는 전월세 매물이 줄어듦에 따라 임대차 가격 상승 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어요.
용인 남사 힐스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