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서울 강남 지역 아파트 월세 매물이 전세 매물을 넘어 3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2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 6월 서울 아파트 월세수급지수는 103.2로, 2021년 10월(110.6) 이후 가장 높았다.덕소역 임대아파트 월세수급지수가 100을 넘는다는 것은 수요가 공급보다 강하다는 뜻이다.
작년 여름부터 이어진 아파트 월세 수요 우위는 전셋값 상승과 매물 부족으로 반전세 등 월세로 떠밀린 수요자들이 많아지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은 이달 25일 현재 2만4천11건으로 대출 규제 발표 날인 지난달 27일(2만4천855건)보다 3.4%(844건) 줄었다. 반면 월세 물건은 2.4%(446건) 증가한 1만9천242건이었다.
강남구에선 월세 물건이 전세를 추월했다.
이달 25일 기준으로 월세 물건은 5천74건, 전세는 4천948건이며, 17일부터 월세가 더 많은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전세 매물이 줄고 월세가 늘어난 원인은 전세를 월세로 전환하는 임대인이 늘어난 영향이 크다. 전세금 상승 부담과 임대차 3법 완화 등이 맞물리면서 임대인들이 월세 방식을 선호하는 추세가 계속되고 있다.
또 금리 인상과 주택 가격 상승 등으로 전세를 구하기 어려워진 세입자들이 월세로 이동하는 움직임도 월세 수요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고가 월세도 늘어나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달 1∼25일 계약된 서울 아파트 월세(4천343건) 중 200만원을 초과하는 거래는 634건으로 14.6%를 차지했다.
대출 규제로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이 막히면서 세입자의 전세보증금으로 잔금을 치르고 새 아파트 소유권을 이전받는 방식이 불가능해진 영향이다. 세입자가 대출을 내지 않아도 될 정도로 보증금을 낮추는 대신 월세를 받는 매물이 많아진 것이다.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임차인의 주거비 부담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
덕소역 민간임대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집값이 높아 집주인의 실거주 가능성이 높은 지역부터 수급 불균형이 심화하며 전셋값이 올라갈 것"이라며 "이를 감당하기 어려운 세입자들이 보증금 일부를 월세로 돌리며 월세화가 확산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덕소역 민간임대 아파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