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정부가 매년 수십만 가구의 공급 계획을 발표하고 있지만 공공임대 미착공과 민간 분양 무산이 누적되며 공급에 대한 회의감이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주택 공급 실적 관리 시 인허가 외에도 착공, 준공 실적도 살펴봐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9일 국회 예산정책처의 2023회계연도 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는 2023년 총 18만3000가구의 공공주택을 공급할 계획이었으나 실제 공급 실적은 12만8200가구(70.1%)에 그쳤다. 이 중에는 사업 승인이 취소된 후 유형 변경을 통해 재승인 받은 물량 1만8800가구도 포함됐다. 이를 제외하면 2023년 공적주택 공급 실적은 10만9400가구(59.8%)로 줄어든다. 이마저도 실제 공급이 아닌 인허가 기준으로 추산하고 있어, 착공에 다다른 물량으로 계산할 경우 첫 삽도 못 뜬 경우가 절반이 넘는다. 이 같은 상황은 매해 반복되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실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으로 지난해 인허가 물량 중 착공에 들어간 경우는 1만1097건(10.5%)에 그친다. 정부가 올해도 역대 최대인 공공주택 25만2000가구의 신속 공급을 약속했지만 최근 수도권 공공주택 사업의 계획 변경으로 실공급은 늦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공사비 인상 등으로 규모가 줄어드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공공주택건설 사업계획이 변경되며 사업비가 상승한 사례는 13건이며, 사업비 변경에 따른 증가액은 6242억원이다. 이중 경기 부천대장지구 A7 블록은 사업비는 870억원(48.61%) 늘었음에도 사업 규모는 1개 층이 줄어들었다. 이에 수요자가 공급을 체감할 수 있도록 현재와 같은 인허가 기준이 아닌 착공률·준공률을 반영한 공급관리체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정부가 실적을 위해 특정 숫자를 제시하기 보다 실제 실행력을 봐야 한다는 논리다. 예산정책처는 "현재의 공적주택 공급계획 기준은 국민의 공적주택 공급 체감도와 괴리를 야기하며 공급실적이 과다계상되는 문제가 있다"며 "공급계획 및 실적 관리 기준을 사업승인일이나 계약일 뿐만 아니라 착공·준공 및 입주일 등도 함께 관리하고 공표해 국민 체감도를 높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오산세교 우미린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인허가는 돈이 많이 들지 않지만 착공을 하게 되면 돈이 많이 들기에 실적을 내기 어려운 것"이라며 "공급 확대를 하겠다고 벌려놓는 방식이 과연 바람직한 것인지 새 정부에서 고민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오산세교 우미린 레이크시티 오산세교우미린레이크시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36 공급 가뭄 허덕이는 서울…상반기 분양 20% 급감 new dodo 2025.07.31 0
8035 올해 검단신도시에 4200가구 나온다…"서울 접근성·인프라 갖춰" new dodo 2025.07.31 0
8034 수도권 아파트에 이어 오피스텔 임대 시장에서도 월세 비중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new dodo 2025.07.31 0
8033 세종 상가 투자수익률 마이너스로…충북 오피스 공실 31% new dodo 2025.07.31 0
8032 천안역 이펀한세상 분양이 언제쯤 인지 궁금한 가운데 경기 과천, 세종시 등 공공기관이 밀집한 지역이 주변 부동산 시세를 이끌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new dodo 2025.07.31 0
8031 서울 아파트값 오름세 5주째 둔화…6·27 대책 영향 new dodo 2025.07.31 0
8030 한남4구역 재개발 본계약… '1.5조' 공사 본격화 new dodo 2025.07.31 0
8029 6·27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값 5주째 상승세 둔화…“매수 관망세 지속” new dodo 2025.07.31 0
8028 수유12구역 2029년 첫삽 뜬다…도심복합지구로 2962가구 공급 new dodo 2025.07.31 0
8027 삼성물산, 한남4구역 조합과 공사 계약 체결 dodo 2025.07.31 0
8026 안전벨트 태양 2025.07.31 0
8025 10억 로또 ‘잠실 대어’ 르엘 등판, 관건은 현금동원력 dodo 2025.07.31 0
8024 8월 아파트 분양 물량 2만9천가구 dodo 2025.07.31 0
8023 올해 상반기 주택 공급 지표 악화…악성 미분양 23개월 만에 상승세 ‘주춤’ dodo 2025.07.31 0
8022 대구 미분양 아파트 다시 증가…'악성 미분양' 4개월만에 주춤 dodo 2025.07.31 1
8021 남사 힐스테이트 가 미분양후 임의세대 모집을 처음으로 시작하는 가운데 2023년 8월부터 거듭 늘어나던 악성 미분양(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23개월 만에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dodo 2025.07.31 0
8020 6월 산업생산 1.2%↑…소비 넉달만에 플러스·건설투자도 반등 dodo 2025.07.31 1
8019 해링턴스퀘어 리버파크 가 무순위청약을 진행중인 가운데 지난달 주택 매매 거래량이 전월 대비 17.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dodo 2025.07.31 1
8018 목동6단지 재건축, ‘사전 병행·주민 협력’으로 7년 앞당긴다 dodo 2025.07.30 1
8017 전세 사라지는 수도권 오피스텔…임대차 10건 중 7건 월세 dodo 2025.07.30 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