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올해 2분기 전국 부동산 시장은 거래량과 거래금액 모두 2개 분기 연속 증가하며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 직전 2개 분기 내내 100조 원을 밑돌았던 거래 금액은 다시 100조 원을 넘어섰다. 12일 상업용 부동산 전문 프롭테크 기업 부동산플래닛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한 2025년 2분기 전국 부동산 유형별 매매시장 동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분기 전국에서 발생한 부동산 거래량은 29만 9197건으로 전분기(25만 8372건) 대비 15.8% 증가했다. 거래금액은 98조 9751억 원에서 124조 6778억 원으로 26.0% 올랐다. 전년 동기(28만 4925건, 101조 6884억 원)과 비교하면 각각 5.0%, 22.6% 상승한 수준이다. 힐스테이트 용인포레 유형별로는 공장·창고 등(집합)을 제외한 8개 유형의 거래량과 거래금액이 직전분기 대비 동반 상승했다. 거래량 증가율이 가장 높은 유형은 상가·사무실(26.2%)로 확인됐으며 이어서 연립·다세대(25.4%), 단독·다가구(22.7%), 아파트(21.0%), 상업·업무용빌딩(16.1%), 토지(7.1%), 공장·창고 등(일반)(7.1%), 오피스텔(5.9%) 순이었다. 거래금액도 상가·사무실이 전분기 대비 54.3% 늘어 상승률 1위에 올랐고 뒤이어 공장·창고 등(일반)(54.0%), 상업·업무용빌딩(42.4%), 연립·다세대(35.1%), 단독·다가구(28.1%), 아파트(22.6%), 토지(21.1%), 오피스텔(12.1%) 순으로 조사됐다. 공장·창고 등(집합)의 거래량은 전분기와 동일했으며 거래금액은 15.8% 감소했다. 17개 시도별로 살펴보면 전분기에 비해 거래량이 증가한 지역은 15곳으로 집계됐다. 울산의 거래량이 53건에서 116건으로 118.9% 증가한 데 이어 충남(387건, 110.3%), 경북(324건, 107.7%), 광주(149건, 79.5%), 인천(906건, 65.9%) 등의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직전분기보다 거래량이 감소한 지역은 전남(119건, -72.3%)과 충북(189건, -7.8%) 2곳으로 확인됐다. 거래금액은 전남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전분기 대비 오름세를 보였다. 특히 울산은 107억원에서 596억원으로 454.9% 늘었고 광주는 168억원에서 877억원으로 423.0% 상승하며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그 외 지역에서는 1.2%(인천)에서 133.5%(충남)까지의 상승폭이 나타났다. 반면 전남의 거래금액은 805억원에서 345억원으로 57.1%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2분기 아파트 거래금액도 전국 17개 시도서 1분기 대비 모두 상승했고 거래량은 ‘전남’만 소폭 하락했다. 2분기 전국 아파트 거래량은 13만 9460건, 거래금액은 75조 8858억 원으로 전분기(11만 5280건, 61조 9150억 원) 대비 각각 21.0%, 22.6% 상승했다. 전년 동기(12만 1470건, 58조 7312억 원)에 비하면 거래량은 14.8%, 거래금액은 29.2% 증가한 수치다. 월별로 보면 4월(4만 1057건, 18조 9501억 원), 5월(4만 5010건, 23조 4919억 원), 6월(5만 3393건, 33조 4437억 원)으로 거래량과 거래금액 모두 3개월 연속 상승 곡선을 그렸다. 시도별 거래량을 보면 전남을 제외한 16개 지역에서 전분기 대비 증가세가 나타났다.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한 세종의 거래량은 1346건에서 2100건으로 56.0% 늘었고 이어서 경기(4만896건, 38.0%), 인천(8058건, 25.0%), 대전(3918건, 23.7%), 부산(7779건, 22.6%) 등의 순이었다. 유일하게 하락 흐름을 보인 전남의 거래량은 3499건에서 3487건으로 0.3% 감소했다. 용인 힐스테이트 민간임대 용인 힐스테이트 포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186 서울 서초구 반포동 마지막 대단지 재건축 사업장으로 꼽히는 반포미도1차 아파트가 조합 설립 절차에 들어갔다. dodo 2025.08.12 7
» 올해 2분기 전국 부동산 시장은 거래량과 거래금액 모두 2개 분기 연속 증가하며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 dodo 2025.08.12 9
8184 aaaaa dddd 2025.08.11 8
8183 여수밤바다 태양 2025.08.11 62
8182 서울시 용산구는 ‘청화아파트 주택재건축정비사업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수립안’에 대한 주민 의견 수렴을 위해 다음달 8일까지 공람공고를 실시한다고 11일 밝혔다. dodo 2025.08.11 7
8181 6·27 대출 규제 이후 거래된 서울 아파트의 절반이 9억 원 이하의 저가 아파트로 나타났다. dodo 2025.08.11 8
8180 '6·27 대출규제'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에서 상승 거래 비중은 줄고, 하락 거래 비중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dodo 2025.08.11 12
8179 6·27 부동산 대출 규제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의 상승 거래 비중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dodo 2025.08.11 9
8178 6·27 부동산 대출 규제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이 빠르게 식고 있다. dodo 2025.08.11 8
8177 이재명 정부의 6·27 대출 규제 시행 이후 거래 신고된 서울시내 아파트의 절반이 9억원 이하의 중저가 아파트로 나타났다. dodo 2025.08.11 8
8176 윤석열 정부가 발표한 부동산 정책 중 59%만 실제 실행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dodo 2025.08.10 11
8175 부산 아파트 입주 물량이 급감하면서 일부 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전세가격이 계속 오를 전망이다. dodo 2025.08.10 72
8174 이른바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이 누적 2만6000여가구에 달하는 가운데, 올해 말 악성 미분양과 관련한 과세 특례가 일몰될 예정이다. dodo 2025.08.10 9
8173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 이내로 묶은 '6·27 대출규제' 시행 이후 수도권 아파트 거래 가운데 직거래 비중이 늘어났다. dodo 2025.08.10 71
8172 서울 송파구 잠실 미성·크로바 아파트를 재건축한 ‘잠실 르엘’이 오는 14일 입주자 모집 공고를 내고 청약 절차에 들어간다. dodo 2025.08.10 67
8171 부산지역 아파트 입주 물량이 급감하면서 주거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전세가격이 들썩이고 있다. dodo 2025.08.10 9
8170 정부의 6·27 대출규제를 뒷받침할 주택공급 대책 발표가 이르면 이달 중으로 임박한 가운데 생활형숙박시설(생숙), 오피스텔 등 비(非)아파트 정책이 포함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dodo 2025.08.10 85
8169 대구 지역 아파트 전셋값이 94주 만에 하락세를 멈췄다. dodo 2025.08.09 61
8168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으로 수도권 부동산 시장이 ‘일시 정지’ 상태다. 집값은 비싼데 대출은 6억원까지만 나와 주택 구입을 포기하는 사람이 늘고 있어서다. dodo 2025.08.09 44
8167 정부가 가계부채 관리에 강한 압박을 가하는 가운데 정비사업 현장에서 '추가 이주비'가 화두로 떠올랐다. dodo 2025.08.09 7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