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최근 산업재해 발생 직후 전국 모든 공사를 전면 중단하는 ‘셧다운’ 현장이 늘고 있다. 사고 현장만 멈췄던 기존 조치와는 다른 모습이다. 건설업계와 주택 시장에서는 이 같은 대응이 이어질 경우 주택 공급 지연이나 공사비 상승 등의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DL건설은 지난 8일 경기 의정부시 신곡동 아파트 공사 현장에서 50대 근로자가 추락해 사망한 사고에 대한 조치로 전체 공사현장 44곳의 작업도 무기한 중지했다. DL건설의 모회사인 DL이앤씨도 지난 9∼10일 전국 공사현장 80여 곳에서 작업을 전면 중단했다가 전날 CSO의 승인을 받은 일부 현장만 공사를 재개했다. 앞서 포스코이앤씨도 전국 103개 현장의 공사를 전면 중단했다. 이는 지난 4일 발생한 인명사고에 따른 조치로, 강화된 안전 기준과 절차가 마련될 때까지 모든 현장의 공사를 무기한 멈추고 인프라 부문 신규 수주도 잠정 보류하기로 했다. 중대재해 발생 직후 전 현장의 작업을 멈추면 위험 요인을 신속히 점검·보완할 수 있어 재발 방지에 효과적이라는 게 업계의 평가다. 구조물과 장비 상태, 작업 절차 등 현장 전반을 재점검하는 과정에서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안전 사각지대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이러한 조치가 낳을 부작용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분양 일정이 줄줄이 미뤄지고 인건비·자재비 상승으로 공사비 부담이 커질 수 있어서다. 수도권 주요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멈추면 발주처·조합까지 연쇄적으로 일정 지연에 직면할 수 있다. 일례로 DL이앤씨는 서초신동아 주택재건축, 도화1구역 재개발, 대전 삼성4구역 재개발 등 굵직한 정비사업을 진행 중이지만 현재 모두 공사가 중단됐다. 포스코이앤씨도 총사업비 5조3500억원 규모의 서초동 ‘서리풀 복합개발’을 비롯해 신반포21차 재개발, 서울 상봉터미널 부지 주상복합, 분당 느티나무3·4단지 리모델링 등 대형 프로젝트가 멈춰선 상태다. 공공분양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포스코이앤씨가 멈춘 현장 중에는 3기 신도시 사업인 경기도 고양 창릉 2공구 택지 조성사업이 포함돼 있다. 약 9000가구 규모로 2029년이 준공 목표이지만, 지난 4일 이후 열흘 넘게 평탄화 작업을 하지 않고 있다. 이편한세상 천안역 DL이앤씨가 부천 대장 신도시에서 민간참여 공공분양 단지인 ‘e편한세상 대장 퍼스티움’은 총 1640가구 규모로 이 가운데 1099가구가 신혼희망타운 공공분양이다. 대장지구 첫 분양 사업이지만 이번 사태로 2027년 예정된 입주 일정이 늦춰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전 현장 셧다운은 강력한 안전 메시지를 주지만 길어지면 모든 이해관계자의 피해가 불가피하다”면서 “주택사업 진척도가 떨어지면 수도권 공급이 지연되고 시장 불안이 커져 주택가격 상승 우려도 재점화될 수 있다”고 지단했다. 그러면서 안전 확보와 공급 안정 간 균형이 필요한 시기라고 덧붙였다. 천안역 이편한세상 원성동 이편한세상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18 로또 단지로 주목을 받고 있는 경기 과천시 '과천주암 C2 신혼희망타운(과천주암C2)' 분양가격이 사전청약 당시보다 1억원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dodo 2025.08.14 126
8217 새 정부가 향후 5년간 공공주택과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등 공적주택을 본격적으로 확대한다. dodo 2025.08.13 50
8216 정부의 주택공급 대책이 임박한 가운데 신속한 공급 일환으로 미매각·미착공 '도시지원시설용지(자족용지)'를 활용하는 방안이 부상하고 있다. dodo 2025.08.13 130
8215 정부가 노후 청·관사와 유휴 국유지 등을 활용한 3만5000가구 규모의 공공주택 공급계획을 밝혔지만 효과에는 의문부호가 찍힌다. dodo 2025.08.13 73
8214 이달 신축 아파트 입주 전망 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dodo 2025.08.13 16
8213 서울시가 일반아파트 시세 50% 수준으로 저렴한 비아파트 ‘미리내집’을 신규 공급한다. dodo 2025.08.13 10
» 최근 산업재해 발생 직후 전국 모든 공사를 전면 중단하는 ‘셧다운’ 현장이 늘고 있다. dodo 2025.08.13 108
8211 대출규제 강화로 부동산 시장에서 ‘똘똘한 한 채’ 선호 심리가 강해지고 있다. dodo 2025.08.13 71
8210 6·27 대출 규제 이후 서울 아파트 증여가 눈에 띄게 늘었다. dodo 2025.08.13 11
8209 고강도 대출 규제를 담은 6·27 부동산 대책의 여파로 8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dodo 2025.08.13 66
8208 6·27대책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이 주춤한 가운데 재개발 지역 반지하 빌라 경매에 응찰자 수십명이 몰렸다. dodo 2025.08.13 16
8207 hidden속성seo 사전 2025.08.13 8
8206 월세 거주 가구의 절반 이상이 월세 세액공제 혜택을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dodo 2025.08.13 7
8205 건물을 새로 짓는 개발사업뿐 아니라 리모델링 사업도 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로 투자할 수 있게 된다. dodo 2025.08.13 6
8204 7월 취업자 수 증가폭이 2개월 연속 10만명대를 이어갔다. dodo 2025.08.13 6
8203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3구역 재개발 정비사업의 지연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dodo 2025.08.13 8
8202 올해 상반기 서울에서 20대가 가장 많이 매수한 아파트 지역은 노원구로 나타났다. dodo 2025.08.13 4
8201 서울 성동구 성수동 성수전략정비구역에서 최근 한 달 만에 직전 거래가격에서 12억원 급락한 아파트 거래가 성사돼 시장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dodo 2025.08.13 5
8200 서민을 위한 대표 주거상품인 도시형생활주택 공급이 지난해 바닥을 찍고 올해 들어선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dodo 2025.08.12 4
8199 장기 침체를 겪던 지방 부동산 시장이 최근 광역시를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울산이 유망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dodo 2025.08.12 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