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9·7 공급 대책으로 발표했던 노후 공공임대 재건축 사업이 본격화된다.
국토교통부는 2030년까지 서울 노후 공공임대 주택 재건축을 통한 2만3000채 착공을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해당 사업은 9·7 공급 대책의 일환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 등이 소관인 노후 공공임대를 재건축해 공공임대와 분양이 혼합된 방식으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추가 용적률을 최대 500%까지 늘리고 입주 가능한 소득 분위를 1~2분위에서 1~6분위로 확대하는 등의 방안이 추진된다.
국토부는 지난해 말 기준 수도권에 30년 이상 된 노후 공공임대 주택이 8만6000채 있고 10년 후에는 16만9000채로 두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재건축사업은 지난해 사업승인을 받은 서울 노원구 하계5단지와 상계마들단지 2곳에서 시작된다. 각각 용적률을 93%에서 476%로, 110%에서 327%로 늘렸다. 2026년 초 1699채 규모로 착공돼 이르면 2029년 입주할 예정이다.
이어 2028년 노원구 중계1단지, 2029년 강서구 가양7단지, 2030년 강남구 수서단지와 강북구 번동2단지 등 2만3000채 규모의 재건축을 순차적으로 착공할 계획이다.
하계5와 상계마들을 제외한 나머지 단지는 사업승인 전 단계에 있어 용적률 500% 적용을 가정하고 착공 규모를 산출했다.
공공분양을 통한 주택 공급은 2028년 중계1단지 사업부터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다른 단지에서도 수요에 따라 공공분양주택 물량을 사업계획 수립 과정에서 반영할 방침이다.
재건축 추진 이후 원주민 이주대책도 마련됐다. 국토부는 재건축 단지 주변에 비어있는 기존 공공임대주택 활용하거나 신규 매입임대의 물량 일부를 임시 이주 주택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오산세교 우미린
오산세교 우미린 레이크시티
오산세교우미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