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정부의 대출 규제·공급 대책에도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이 확대되고 있다.
경매 낙찰률은 3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매맷값과 경매 낙찰률 모두 한강벨트를 따라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맷값은 전주대비 0.27% 올랐다. 상승 폭은 전주(0.19%) 대비 확대됐다.
서울 25개 자치구가 모두 아파트값이 상승했다. 특히 강남3구와 한강벨트 주요 자치구에서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자치구별 아파트값 상승률은 △강남구 0.20% △광진구 0.65% △마포구 0.69% △성동구 0.78% △서초구 0.24% △송파구 0.49% △용산구 0.47% 등으로 나타났다. 보합세를 기록했던 도봉구는 0.04% 올랐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서울의 경우 가격 상승 기대감이 있는 재건축 추진 단지와 대단지·역세권 등 정주여건이 양호한 선호 단지 중심으로 매수문의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에서도 3년여 만에 가장 높은 낙찰률을 보였다. 경·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낙찰률은 50.7%로 전월 40.3% 대비 10.4%포인트(p) 상승했다.
이는 2022년 6월(56.1%) 이후 3년 3개월 만에 최고치다. 특히 마포·용산·성동구 등 한강벨트 지역 낙찰률은 100%를 기록했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은 99.5%로, 전월(96.2%) 대비 3.3%p 상승했다. 이 역시 2022년 6월(110.0%) 이후 최고 수준이다.
같은 기간 용산·송파·동대문구 낙찰가율은 10%p 이상 상승했으며, 마포·광진구 낙찰가율도 7%p 이상 올랐다.
양지 푸르지오
서울 아파트값은 공급 부족 영향으로 추석 이후에도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위원은 "규제가 있음에도 주택 가격이 내려가지 않고 지속 상승하고 있다"며 "최근 몇 주 사이 마포·용산·성동구 인근 지역 호가가 급격히 상승하는 등 지역적 확산 양상이 보이기 시작했는데, 상승세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양지푸르지오
용인 양지 푸르지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