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이혼절차서류지난해 4분기 가계의 월평균 소득은 521만 5,000원. 통계만 보면 ‘소득 증가’라지만, 현실에서는 “월급 500만 원 받는 사람이 그렇게 많냐”라는 질문부터 튀어나옵니다. 소득 하위 20%, 가장 낮은 1분위 가구의 근로소득은 4.3% 줄었고, 사업소득은 7.9% 감소했습니다. 반대로 상위 20% 부자들의 소득은 늘었지만, 소비는 오히려 줄었습니다. 돈을 벌어도 서민들은 생활이 더 팍팍해졌고, 부자들은 더 돈을 쌓는 구조입니다. “월급은 그대로인데, 줄어드는 건 소득이고 늘어나는 건 적자뿐.” 서민들은 매달 35만 원 적자 살림을 하면서도 푸념 속에 지출을 늘릴 수밖에 없고, 반면 부자들은 불안한 경기 속에서도 소비를 줄이먄사 자산을 더 불려나갔습니다. 소득은 늘었다고 하는데, 어찌 된 게 가계 소비는 얼어붙었습니다. 소득과 소비 흐름을 보면 계층별 경기 체감 온도가 극명하게 엇갈립니다. 누군가는 허리띠를 졸라매도 적자지만, 누군가는 돈이 남아도 안 쓰고 있습니다. 경기 불확실성이 심화되면서, 가계의 소비 패턴 자체가 변화하고 있습니다. ■ 1분위, 월 35만 원 적자.. “버는 것보다 쓰는 게 많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소득 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21만 3,000원으로 3.0%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재산소득(25.8%)과 이전소득(7.8%)이 증가한 데 반해 근로소득(-4.3%)과 사업소득(-7.9%)이 급감했습니다. 이는 2019년 이후 4분기 기준 최대 하락 폭입니다. 1분위 가구의 소비지출은 8.0% 증가했습니다. 특히 주류·담배(17.3%), 교육(16.7%), 의류·신발(16.6%) 등 생활 필수품보다 가변성이 큰 품목에서 소비가 증가한 점이 주목됩니다. 경제적 불안이 커질수록 지출 패턴이 감정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불확실성이 서민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엿볼 수 있습니다. ■ “소득은 늘었지만, 지갑은 닫아”.. 소비 위축에 경제 불안감 반영 가계 소득이 증가했음에도 소비는 기대만큼 늘지 않았습니다. 특히 5분위 가구는 월평균 소득이 1,119만 9,000원으로 3.7% 증가했지만 소비지출은 0.3% 줄었습니다. 자동차 구입 지출이 29%나 급감한 것은 가계의 소비 심리 위축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 이후 소비 심리가 급격히 위축되면서 경기 불확실성이 지갑을 닫게 만든 것으로 분석됩니다. 통신(-3.1%)과 보건(-2.2%) 지출이 줄어든 것도 눈에 띕니다. 생활 필수 소비마저도 축소되고 있다는 점에서 경기 침체 그림자가 가계 생활 전반으로 번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02 신용카드한도대출 라면만 2025.03.01 104
3701 신작도 불안한데 리니지까지… '엔씨 신화' 종언 고했나 [IT+] 곽두원 2025.03.01 120
» “월급 500만 원이 평균이라고?”.. 누구는 적자 살림, 누구는 돈 쌓는다 성지혜 2025.03.01 103
3699 답례품 과메기 2025.03.01 119
3698 에스프라임치과 울티마 2025.03.01 100
3697 구미웨딩박람회 체크맨 2025.03.01 106
3696 제2의 배터리 혁명, ESS가 바꾸는 에너지 산업 [한양경제] 곽두원 2025.03.01 103
3695 판촉물 김소영 2025.03.01 115
3694 포항웨딩박람회 엔젤몬 2025.03.01 122
3693 "제2의 하늘이 없도록" 보호자 대면 인계 원칙.. 안전 관리 강화 임꺽정 2025.03.01 102
3692 삼탠바이미 김진주 2025.03.01 97
3691 아산웨딩홀 사다리 2025.03.01 116
3690 콜라겐주사 도적1 2025.03.01 114
3689 “일류경제도시 초석…‘지속가능한 도약’ 이뤄내겠다” [헤경이 만난 사람-이장우 대전광역시장] 곽두원 2025.03.01 92
3688 3·1절 연휴 전국 눈비…강원 영동 최대 50㎝ 대설 이지혜 2025.03.01 122
3687 스탠바이미 노리치 2025.03.01 126
3686 천안웨딩박람회 덤프트럭 2025.03.01 123
3685 강남사무실임대 클래릭 2025.03.01 100
3684 2060년 한국은…'노인연령 상향·가족수당·민간돌봄' 필요하다[중장기전략] 곽두원 2025.03.01 127
3683 '친윤계' 여당 의원들, 尹 탄핵 반대 '릴레이 단식' 추진 최정원 2025.03.01 9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