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구미휴대폰성지정부는 지난해 2월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주가 저평가)'를 해소하자며 '밸류업 정책'을 추진했다. 그 원형은 일본 증시의 밸류업이다. 일본이 2023~2024년 디플레이션에서 탈출하고, 외국인 자금이 유입되면서 주가가 상승세를 탔기 때문이다. 밸류업 정책을 발표한 지 1년이 지난 지금 코스피 지수는 오히려 2.84% 하락했다. 일본과 우리의 결정적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 탄핵 후 더 생각해 볼 문제 2편은 밸류업이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무엇을 보고 일본으로 몰려들었을까. 일본 기업의 지배구조 개선이었다. 일본의 밸류업 목표는 우리처럼 단순히 주가 끌어올리기가 아니라 아베노믹스의 장기 성장전략 중 하나인 '기업 지배구조 개선'이었기 때문이다. [※참고: 아베노믹스는 아베 신조 전 총리가 디플레이션 탈출을 위해 제시한 양적완화, 확장재정, 장기 성장전략이라는 세개의 화살을 말한다.] '투자의 귀재'이자 '가치투자자'인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최고경영자(CEO)가 본격적으로 일본 증시에 투자하기 시작한 것은 2020년이었다. 버핏은 2020년 8월 일본 5대 종합상사 주식을 각각 전체 지분의 5% 이상씩 매입했다. 버핏이 투자한 후 일본 닛케이225 지수는 5년간 29.25% 상승했다. 누구도 눈여겨보지 않던 일본 주식을 버핏은 왜 대량 매입했을까. 버핏이 투자한 종목에 이유가 숨어 있다. 일본 종합상사는 두가지 특징이 있다. 먼저 이들은 에너지·곡물과 같은 대형 국제 거래에서 큰손 역할을 한다. 또 하나의 특징은 이들이 대기업 계열의 지주회사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일본에서 대기업집단은 총수 개인이 지배주주였던 재벌을 거쳐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은행이나 무역상사가 지배주주 역할을 하는 '계열'이라는 이름의 기업집단으로 변모했다. 미쓰비시그룹 계열이라는 대기업집단은 미쓰비시상사, 미쓰비시중공업, 미쓰비시UFJ은행이 다른 계열사의 지분을 대거 보유해 형성된다. 상사의 지주회사 역할이 설령 미흡해도 종합상사는 계열 기업집단에서 일종의 총수 비서실이나 기획실 역할을 한다. 결국 버핏은 일본이라는 나라의 기업 지배구조가 곧 개선될 것이라는 희망에 베팅한 셈이다. 버핏의 일본 상사 지분율은 첫 투자로부터 3년 후엔 각각 8% 이상으로, 4년 후인 지난해 말에는 각각 10%에 육박했다. 투자은행 윌리엄 블레어는 2024년 6월 공개한 '일본 기업 지배구조의 진화' 보고서에서 "아베 신조가 기업의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해 포괄적인 의제를 제시한 이후 일본 기업 지배구조에 놀라운 변화가 일어났다"고 극찬했다. 버핏의 첫 투자로부터 4년간 일본의 기업 지배구조 개편은 착실히 진행됐다. 일본 금융청은 기관투자자의 투자 가이드라인인 스튜어드십 코드를 여러 차례 개정해 2017년에는 "기관투자자와 지분 소유자는 피투자 기업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을 높여야 한다"는 문구를 넣었다. 도쿄증권거래소는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낮은 기업이 스스로 기업가치를 높이도록 규제했다. 2024년 6월 일본 금융청은 마침내 영국 런던에서 열린 ICGN 행사에서 "일본 상장기업이 자회사를 상장해 보유한 중복상장 비율이 2014년 9.7%에서 2023년 6.6%로 낮아졌다"고 발표했다. 일본의 교차지분(상호출자) 비중도 50%를 넘나들던 수준에서 지난해 10%대로 낮아졌고, 상장사 70%가 상호출자를 곧 해소하겠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도쿄증권거래소에 제출했다(KPMG). 상장사의 중복상장 비율이 IBK투자증권 집계 기준 18.43%(2024년 2분기)에 달하고, 자산이 많은 일부 기업에만 상호출자를 제한하고 있는 우리나라와는 대조되는 수치다. 더스쿠프가 '탄핵 後 점검해야 할 이슈' 1편에서 조명한 상법 개정은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는 출발점이자 밸류업의 전제조건이다. 적어도 기업의 지배구조 측면에서는 한국보다 월등히 뛰어난 일본조차 서구권에서는 '여전히 대부분의 개발도상국보다도 뒤처져 있는(윌리엄 블레어)' 나라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일본 상법에도 '이사의 주주 충실의무'는 명시돼 있지 않지만, 일본 법원이 오직 지배주주만을 우대하는 방식의 기괴한 판례를 내놓은 적은 없다. 굳이 이사 충실의무에 '주주'라는 문구를 넣지 않아도 당연히 주주를 도출했다는 얘기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314 해링턴스퀘어 리버파크 처럼 입지 좋은 분양말고는 실제 새 정부 출범 후 자본시장으로 돈이 몰리고 있다. new dodo 2025.07.06 0
7313 ‘10억 로또’ 무순위 청약 전략…“이 정도 현금 없으면 소형 평수 넣으세요” dodo 2025.07.05 0
7312 목동, 대출규제 뚫고 신고가 썼다고?…사실은요 dodo 2025.07.05 0
7311 6억 규제 반사이익? 노도강 매수, 신중해야 하는 이유 dodo 2025.07.05 0
7310 규제피한 남사 힐스테이트 와 달리 추가적인 부동산 규제가 시행될 것이란 불안함으로 인해 강남권 아파트의 매수 심리가 수그러든 것으로 나타났다. dodo 2025.07.05 0
7309 “여기도 비었네”...한달새 경매 313건 ‘공실지옥’ 지식산업센터, 묘안 있다는데 dodo 2025.07.05 0
7308 해링턴스퀘어 리버파크 처럼 새로운 랜드마크 들이 속속 준비중인 가운데 재건축·재개발 정비 사업장의 설계자 선정은 보통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된다. dodo 2025.07.05 0
7307 용인푸르지오 가 기존 주택을 가진 사람들이 신축으로 넘어오려는 수요로 인기를 얻고 있는 가운데 6·27 부동산 대책의 여파로 정비사업의 ‘1+1 분양’ 문제가 다시 논란으로 떠올랐다. dodo 2025.07.05 0
7306 용인 지역 규제전 분양한 남사 힐스테이트 는 연일 방문객으로 북적이는 가운데 4일 서울 강남권 주요 부동산 중개업소는 한산했다. dodo 2025.07.04 0
7305 정부 대출규제에 서울 아파트값 하락 전환… “변동률 크게 위축” dodo 2025.07.04 0
7304 해링턴스퀘어 리버파크 가 이번주 분양을 마친 가운데 7월 둘째 주에는 전국에서 총 8845가구가 분양을 시작한다. dodo 2025.07.04 0
7303 와이퍼 태양 2025.07.04 0
7302 李정부 3기 신도시 속도전…기업·군부대 이전 당긴다 dodo 2025.07.04 0
7301 용인 둔전역 민간임대 가 이번달 오픈예정인 가운데 올해 상반기 경기도에서 실거래가 기준 최고가 아파트 5곳 중 3곳이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dodo 2025.07.04 0
7300 안녕하세요 이미나 2025.07.04 0
7299 대출 규제 효과 6개월…'1가구 1주택' 정책의 한계 dodo 2025.07.04 0
7298 해링턴스퀘어 리버파크 가 2순위도 선방하며 순항중인 가운데 정부가 '조건부 전세대출'을 전면 차단하면서 7월 입주 예정인 아파트 단지들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dodo 2025.07.04 0
7297 용인푸르지오 도 외국인 문의가 많은 가운데 정부가 외국인의 강남 아파트 취득 과정을 정밀하게 들여다보기로 했다. dodo 2025.07.04 0
7296 용인푸르지오 는 이번 규제 미적용 단지지만 다른 곳들은 정부의 대출 규제로 정비사업 조합원들의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면서 '이주비 지원'이 수주전의 핵심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dodo 2025.07.03 0
7295 주택공급 확대 '속도전' 시사…'언제든 추가 규제' 경고도 dodo 2025.07.03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