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제주휴대폰성지조성래 시인의 첫 시집 「천국어 사전(2024ㆍ타이피스트)」은 진실한 언어로 채워져 있다. 여기서 진실하다는 것은 그의 언어가 동시대의 다른 시인보다 유달리 특별하거나 세련돼서 진실하다는 말이 아니다. 표현하는 언어도 세계관을 운영하는 방식도 시인마다 각양각색이니 하나의 표정만을 최고로 꼽기는 어렵다. 세상에 소중하지 않은 목소리가 어디 있으며, 애달픈 사연이야 한 움큼씩 가슴에 품고 살아가는 것이 우리의 삶이다. 그런데도 그의 언어가 '진실한' 언어로 채워졌다고 적은 것은 평이하지만 평이하지 않은 시적 언어로 자신의 삶을 고백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인이 직접 쓴 산문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주관적인 경험 내에서 발견할 수 있는 가장 솔직한 문장('아름다운 글을 쓰고 싶었으나, 아름다운 사람이 아니었음을')"을 찾아 돌아다녔기에 그의 진정성이 호소력 있게 전달되는 듯하다. 그런데 이 솔직함을 시집에서 운영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솔직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삶에 정직해야 할 뿐만 아니라 부끄러움이 없어야 한다. 부끄러움이 있을 수 있지만, 그것과 대면해야 한다. 솔직하게 풀어낼 사연이 없거나, 견딘 삶이 보잘것없다면 아무리 절절한 고백이라고 한들 개인의 일상에 지나지 않는다. 그의 삶이 의미 없다는 것이 아니라, 투명한 고백의 언어는 지독한 삶이 아니고서는 타인을 설득할 수 없는 것이다. 이 지점에 연민이 무의식적으로 침입하게 되는데, 연민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것도 아무나 되는 것이 아니다. 삶을 있는 그대로 쓴다는 것은 이렇게 어렵다. 그렇다면 조성래의 첫 시집에서는 어떤 내용이 포진돼 있을까. 아무래도 그가 가장 힘들어했던 것은 자신의 가족과 얽힌 끊을 수 없는 인연의 애달픔이나 죄책감 또는 원망 같은 감정이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감정의 기원은 어디에서 시작됐을까. 아버지는 나주의 여자를 찾아 "우리를('행렬')" 버리고 떠났다. 시인은 작은 방에 홀로 남겨진 채 여동생과 아픈 어머니를 곁에서 돌봐야 했다. 시인의 어머니는 회복될 수 없는 병으로 인해 몸이 점점 시들해졌고, 시한부 선고를 받기까지 가족들은 그녀를 정성껏 돌봐야 할 의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픈 존재를 돌봐 본 사람은 이 과정이 고단하다는 것을 안다. 작은 바람에도 쉽게 꺼지는 위태로운 존재를 돌보는 일은 혈육이든 타인이든 쉽지 않다. 시인이 "나는 살기 위하여 동생과 나를 줄다리기하는/그 나무를 포기하고 싶었다('낙원')"라고 솔직하게 고백한 것은 이런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담아낸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09 중요 임무를 능률적으로 수행할 역량 new 하지우 2025.04.23 0
6508 재개발 구역서 해제됐던 ‘괘법1’, 9년 만에 정비구역 재지정 눈앞 new dodo 2025.04.22 0
6507 8구역은 삼성, 9구역은 현대건설·DL이앤씨?…‘핫’해진 장위동 new dodo 2025.04.22 0
6506 목동 신시가지 재건축 1호 신호탄…목동6단지, 내달 10일 조합 설립 new dodo 2025.04.22 0
6505 지방부동산 살릴 묘책… 탄력받는 '국민 제2주소지제' new dodo 2025.04.22 0
6504 “부동산 틈새시장은 ‘역세권 활성화 사업’…그 이유는” new dodo 2025.04.22 0
6503 "강남 아파트 사려면 이 방법뿐"…'뜻밖의 상황' 벌어졌다 new dodo 2025.04.22 0
6502 주52시간 탓에…아파트 공사기간 8개월 '쑥' dodo 2025.04.22 0
6501 3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 56개월 만에 최대...‘4대 변수’가 분수령 dodo 2025.04.22 0
6500 “청약 계획 미뤄야 하나”…수도권 3월 계획 대비 아파트 공급 고작 20% dodo 2025.04.22 0
6499 ‘미분양 해법’ CR리츠 1호 나왔다 dodo 2025.04.22 0
6498 가계는 깐깐, 대기업은 느슨…은행 대출 문턱 엇갈린다 dodo 2025.04.22 0
6497 연 2% 청년주택드림대출…서울 신축아파트 '그림의 떡' dodo 2025.04.22 0
6496 어떻게 하면 창의성을 기를 수 있을까 태양 2025.04.22 1
6495 1억 오른 호가에 거래 외면… 천도론에 난리난 세종 부동산 dodo 2025.04.22 1
6494 일자리가 곧 주거가치…행정타운 품은 아파트 ‘승승장구’ dodo 2025.04.22 1
6493 신도시 대장 아파트 조건은? oooo 인근 단지 주목해야 dodo 2025.04.22 1
6492 “역세권·학군 비켜”…고령화 시대, 집값 상승 요인은 이것 dodo 2025.04.22 1
6491 “도대체 한 달 수입이 얼마길래”…1분기 서울 월 500만원 이상 임대계약 무려 dodo 2025.04.22 1
6490 재개발 입주권도 토허제 대상…‘준공후 2년 실거주’ 확약 필수 dodo 2025.04.22 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