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성추행전문변호사노동계 "외국인 최저임금 미적용, 차별적…다른 업종에 번질 수도" 정부가 추진하는 '외국인 가사·육아 분야 활동 시범사업'에 서울시가 참여한다. 시범사업을 통해 활동 허가를 얻은 외국인은 개별 가정과 '사적 계약'을 맺고 최저임금법 등 노동관계법의 사각지대에서 일하게 된다. 노동계에서는 "외국인을 노동관계법 적용을 받지 않는 일자리에 묶어두겠다는 것은 인종차별적 발상"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서울시는 지난 23일 보도자료에서 "법무부와 함께 서울에 체류·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가사·육아 분야 활동 시범사업을 추진한다"며 "24일부터 국내 체류 외국인을 대상으로 모집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어 "아이를 키우는 가정의 가사·육아 부담을 경감하는 동시에 사업에 참여하는 외국인의 체류 안정성 확보에 도움이 돼 시민과 외국인 모두 혜택을 받는 사업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시범사업 모집대상은 서울 소재 학교에 다니는 유학생(D-2), 졸업생(D-10-1), 외국인 노동자의 배우자(F-3), 결혼이민자 가족(F-1-5) 등 합법 체류 특정 비자를 보유한 성인이다. 서비스 신청이 가능한 가정은 6세 이상 18세 이하 미성년자를 양육하는 서울 소재 가정이다. 법무부는 선발된 이들에게 활동 허가·교육 프로그램 제공 등을 지원하고, 서울시는 수급 매칭·교육 운영·민원 응대 등 행정 절차를 담당한다. 문제는 이번 시범사업에서 활동 허가를 얻은 외국인이 서울시가 정한 "민간 매칭 플랫폼 기업"을 통해 개별 가정과 '사적 계약'을 맺고 일하는 가사사용인으로 일하게 된다는 점이다. 이 경우 가사관리업을 영위하는 회사가 고용 계약을 맺은 가사노동자와 달리 근로기준법, 최저임금법 등 노동관계법 대부분의 적용을 받지 않게 된다. 이는 지난해 서울시가 시행한 '외국인 가사관리사 시범사업'에 비해서도 노동조건 면에서 후퇴한 것이다. 해당 시범사업을 통해 입국한 필리핀 가사관리사들은 서울시와 협약을 맺은 회사에 고용돼 최저임금에 해당하는 시급(지난해 9860원, 올해 1만30원)을 받으면서도 1.5평 숙소비 53만9000원 등 70여 만 원이 월급에서 공제된다며 어려움을 호소한 바 있다. (☞관련기사 : "1.5평 숙소비 54만 원", "주말에도 일해"…필리핀 가사관리사의 눈물) 노동계에서는 이번 사업이 외국인에 대한 차별적 발상에서 비롯됐다는 비판이 나온다. 정영섭 이주노조 활동가는 <프레시안>과의 통화에서 "이주 가사돌봄노동자에게 최저임금법 등 노동관계법을 적용하지 않겠다는 건 인종차별적 발상"이라며 "가사관리업에서 외국인에게 최저임금을 적용하지 않는 사례를 만들면, 다른 업종에서도 비슷한 요구가 나올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서울시가 민간 플랫폼 기업을 통해 가정과 가사사용인을 매칭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서도 "인력공급업체와 이번 시범사업에서 운용되는 플랫폼 업체 간 차이가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며 "법무부와 서울시가 허가를 주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상황에서 이런 식으로 사업을 진행하면 노동자성 문제도 불거질 수 있다고 본다"고 했다. 조혁진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도 "2022년 회사가 고용한 가사노동자에게 근로기준법 등을 적용하게 한 가사근로자법을 제정해 가사노동자를 법 적용을 받는 공식 영역으로 끌어들이는 흐름이 있었는데, 법무부와 서울시가 나서 비공식 영역을 늘리려 하는 것 자체가 문제적"이라며 "임금체불이나 갑질 등 문제가 발생했을 때 시범사업에 참여한 가사사용인이 적절한 보호를 받을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법무부와 서울시가 이번 사업에서 가정과의 사적 계약을 통한 가사사용인 활동 허가만 내주겠다고 한 데 대해서도 "보통의 가사노동자는 회사에 고용돼 일할 수도, 가정과 계약을 맺고 일할 수도 있다"며 "외국인에게만 반쪽짜리 허가를 내주는 것은 차별적"이라고 지적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09 중요 임무를 능률적으로 수행할 역량 new 하지우 2025.04.23 0
6508 재개발 구역서 해제됐던 ‘괘법1’, 9년 만에 정비구역 재지정 눈앞 new dodo 2025.04.22 0
6507 8구역은 삼성, 9구역은 현대건설·DL이앤씨?…‘핫’해진 장위동 new dodo 2025.04.22 0
6506 목동 신시가지 재건축 1호 신호탄…목동6단지, 내달 10일 조합 설립 new dodo 2025.04.22 0
6505 지방부동산 살릴 묘책… 탄력받는 '국민 제2주소지제' new dodo 2025.04.22 0
6504 “부동산 틈새시장은 ‘역세권 활성화 사업’…그 이유는” new dodo 2025.04.22 0
6503 "강남 아파트 사려면 이 방법뿐"…'뜻밖의 상황' 벌어졌다 new dodo 2025.04.22 0
6502 주52시간 탓에…아파트 공사기간 8개월 '쑥' dodo 2025.04.22 0
6501 3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 56개월 만에 최대...‘4대 변수’가 분수령 dodo 2025.04.22 0
6500 “청약 계획 미뤄야 하나”…수도권 3월 계획 대비 아파트 공급 고작 20% dodo 2025.04.22 0
6499 ‘미분양 해법’ CR리츠 1호 나왔다 dodo 2025.04.22 0
6498 가계는 깐깐, 대기업은 느슨…은행 대출 문턱 엇갈린다 dodo 2025.04.22 0
6497 연 2% 청년주택드림대출…서울 신축아파트 '그림의 떡' dodo 2025.04.22 0
6496 어떻게 하면 창의성을 기를 수 있을까 태양 2025.04.22 1
6495 1억 오른 호가에 거래 외면… 천도론에 난리난 세종 부동산 dodo 2025.04.22 1
6494 일자리가 곧 주거가치…행정타운 품은 아파트 ‘승승장구’ dodo 2025.04.22 1
6493 신도시 대장 아파트 조건은? oooo 인근 단지 주목해야 dodo 2025.04.22 1
6492 “역세권·학군 비켜”…고령화 시대, 집값 상승 요인은 이것 dodo 2025.04.22 1
6491 “도대체 한 달 수입이 얼마길래”…1분기 서울 월 500만원 이상 임대계약 무려 dodo 2025.04.22 1
6490 재개발 입주권도 토허제 대상…‘준공후 2년 실거주’ 확약 필수 dodo 2025.04.22 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