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지난 3월 신고된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 9000건을 훌쩍 넘기며 부동산 활황기였던 56개월 만에 가장 많은 거래량을 기록했다. 다만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재지정과 정치적 불확실성이 맞물리며 이달 들어 서울 부동산 시장은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오창 더본칸타빌 23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날 기준 3월 아파트 거래 신고는 9259건으로 고강도 대출 규제가 시작되기 전 거래량 피크를 찍었던 지난해 7월(9223건)을 넘어섰다. 이는 코로나19에 따른 과잉 유동성으로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던 2020년 7월(1만1143건) 이후 4년8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달 말 신고기한이 다가오며 거래량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지만 이 추세면 1만건 안팎을 찍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4월 거래량은 17.5% 수준인 1619건에 그쳤다. 이는 토허제 확대 재시행 영향을 받은 강남3구와 용산구 거래량이 3월 2075건에서 이달 34건으로 1.6% 수준으로 급감하며 거래가 단절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세부적으로 강남구는 3월 779건에서 이달 12건으로, 송파구는 770건에서 18건, 용산구는 249건에서 4건으로 쪼그라들었다. 서초구는 지난달 277건의 거래가 발생했지만 이달은 거래 신고가 전무한 상황이다. 토허제 해제 당시 호가가 2~3억원씩 오르며 호재를 탔던 잠실 대장주인 엘리트(엘스·리센츠·트리지움)도 토허제 재지정 이후 거래가 뚝 끊겼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2월13일부터 전달 23일까지 잠실엘스(52건), 리센츠(72건), 트리지움(45건) 등 합계 169건이 거래됐지만, 같은 달 24일부터 현재까지 거래 신고가 전무했다. 토허제 '풍선효과'도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한강 벨트인 강동구(690→79건), 마포구(536→105건), 성동구(618→89건)의 경우도 3월 거래량은 큰 폭으로 증가했던 데 비해 이달 확연히 감소했다. 이는 토허제 재시행 외에도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로 대출 금리가 떨어지지 않고 있는 점과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따른 조기 대통령 선거로 인해 부동산 정책 불확실성이 커지며 시장이 관망세로 돌아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부와 서울시가 토허제 운영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유주택자의 기존 주택 처분 기한 등을 정비하고 실거주 2년 의무 유예 등 보완책을 마련했지만 서울 주택시장 거래가 활성화될지는 미지수라는 게 전문가의 지적이다. 다만 오는 7월부터 스트레스DSR 3단계 시행이 예고돼 있어 집값 상승을 걱정하는 '패닉바잉'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토허구역 재지정 이후 4월부터 관련 지역 거래가 현저히 줄어든 상황"이라며 "토허제 기준 정립에도 불구하고 당분간 거래 소강상태는 이어질 전망"이라고 밝혔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12 토론이 중요한 이유 태양 2025.04.23 3
» '토허제' 3월 서울 아파트 거래 9259건…4년8개월 만에 최다 dodo 2025.04.23 7
6510 30대가 내 집 마련 나서자…"없어서 못 산다" 난리난 아파트 dodo 2025.04.23 6
6509 중요 임무를 능률적으로 수행할 역량 하지우 2025.04.23 6
6508 재개발 구역서 해제됐던 ‘괘법1’, 9년 만에 정비구역 재지정 눈앞 dodo 2025.04.22 3
6507 8구역은 삼성, 9구역은 현대건설·DL이앤씨?…‘핫’해진 장위동 dodo 2025.04.22 6
6506 목동 신시가지 재건축 1호 신호탄…목동6단지, 내달 10일 조합 설립 dodo 2025.04.22 9
6505 지방부동산 살릴 묘책… 탄력받는 '국민 제2주소지제' dodo 2025.04.22 5
6504 “부동산 틈새시장은 ‘역세권 활성화 사업’…그 이유는” dodo 2025.04.22 4
6503 "강남 아파트 사려면 이 방법뿐"…'뜻밖의 상황' 벌어졌다 dodo 2025.04.22 3
6502 주52시간 탓에…아파트 공사기간 8개월 '쑥' dodo 2025.04.22 5
6501 3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 56개월 만에 최대...‘4대 변수’가 분수령 dodo 2025.04.22 5
6500 “청약 계획 미뤄야 하나”…수도권 3월 계획 대비 아파트 공급 고작 20% dodo 2025.04.22 7
6499 ‘미분양 해법’ CR리츠 1호 나왔다 dodo 2025.04.22 3
6498 가계는 깐깐, 대기업은 느슨…은행 대출 문턱 엇갈린다 dodo 2025.04.22 7
6497 연 2% 청년주택드림대출…서울 신축아파트 '그림의 떡' dodo 2025.04.22 10
6496 어떻게 하면 창의성을 기를 수 있을까 태양 2025.04.22 5
6495 1억 오른 호가에 거래 외면… 천도론에 난리난 세종 부동산 dodo 2025.04.22 3
6494 일자리가 곧 주거가치…행정타운 품은 아파트 ‘승승장구’ dodo 2025.04.22 6
6493 신도시 대장 아파트 조건은? oooo 인근 단지 주목해야 dodo 2025.04.22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