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국내 건설경기 침체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시절보다 심각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15일 발간한 ‘2008년 금융위기와 비교한 최근 건설경기 진단과 대응 방안’ 보고서에서 2008년 금융위기 당시와 현재 건설경기를 비교한 여러 통계를 기반으로 이같이 주장했다.
건산연에 따르면 건설경기 선행지표인 건설수주(경상)는 2023년 전년 대비 16.6% 감소해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6.1%보다 눈에 띄게 감소 폭이 컸다.천안역 이편한세상 건축 착공면적 역시 2008년에는 전년 대비 22.2% 감소했으나 2023년에는 31.7% 줄었다.
건설경기 동행지표인 건설기성(경상)은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해서는 2007년 6.6%, 2008년 4.9%, 2009년 3.2%로 성장은 둔화했더라도 성장세 자체는 이어갔으나 최근에는 2022년 12.4%, 2023년 10.7% 증가하다가 2024년 -3.2%로 하락 전환했다.
건설투자도 2022년과 2024년 각각 전년 대비 3.5%와 3.0% 감소해 2008년 감소 폭인 2.7%를 웃돌았다.
주택 수요 부진 지표인 연도별 미분양(12월 말 기준)은 2008년 16만5599가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고, 2022년에는 6만8107가구로 물량 자체는 그보다 적지만 전년 대비 증가율은 284.6%로 가팔랐다.
건설기업 수익성 지표는 글로벌 금융위기 시절과 마찬가지로 하락했다.
건설업 매출액세전순이익률은 2007년 8.5%에서 2009년 2.8%로, 2021년 6.2%에서 2023년 3.4%로 떨어졌다.
건산연은 이런 지표를 볼 때 최근 건설경기 악화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시절보다 더 빠르다고 분석했다.
한편 국토연구원이 이날 발표한 ‘2025년 4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 결과에 따르면, 부동산시장(주택+토지) 소비심리지수는 올해 들어 1월 98.3, 2월 103.0, 3월 106.0으로 전월 대비 상승했으나, 4월에는 102.7로 하락했다.
이편한세상 천안역
올해 4월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전국적으로는 106.0으로 전월 대비 3.3포인트 하락했는데, 수도권은 105.9로 5.6포인트 떨어지고, 비수도권은 99.1로 0.6포인트 하락했다.원성동 이편한세상 주요 지역별로 보면 세종(21.6포인트 상승), 충북(2.1포인트 상승) 등은 올랐고, 서울(8.6포인트 하락), 경기(4.9포인트 하락) 등은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