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서울시가 공공 주도의 정부 9·7 부동산 대책을 보완하기 위해 내놓은 주택 공급 계획의 핵심은 민간 재건축·재개발 사업의 인허가 개선을 통해 전체 기간을 최대 6.5년 앞당기는 것이다. 서울에 '빈 땅'이 부족한 만큼 행정력을 총동원해 민간 정비사업의 속도를 한 단계 더 끌어올려 집값 상승 진원지인 한강벨트 지역에 주택을 집중적으로 공급하겠다는 대책을 내놨다. 2031년까지 31만가구를 착공하고 이 중 19만8000가구(약 64%)는 한강벨트에 쏟아붓는다. 2035년까지 37만7000가구를 준공하는 게 목표다. 오산세교 우미린 이 같은 구상은 집값을 잡는 데 민간 주도 정비사업 활성화를 통한 공급 확대가 효과적이라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신념에 따른 것이다. 다만 일부 절차를 걷어내는 등의 정도로는 체감이 크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하지만 정부와 여당의 재건축·재개발 촉진법이 마련된다면 정비사업에 가속도가 붙어 주택 공급 속도가 더 빨라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서울시는 29일 민간 재건축·재개발 속도를 끌어올리는 신속통합기획(신통기획) 2.0을 가동한다고 발표했다. 신통기획은 민간 재건축·재개발 사업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서울시가 마련한 공공 지원이다. 시는 정비사업 전반부인 정비구역 지정과 조합설립 등의 공공 지원을 강화하는 신통기획 시즌1을 통해 정비사업 기간을 평균 18년5개월에서 13년으로 줄였다. 신통기획 2.0은 정비사업 후반부인 사업시행·관리처분계획·이주·준공에 이르는 과정에서 1년을 추가로 줄이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시는 통합심의 전 진행하는 환경영향평가 초안 검토회의를 생략한다. 사업시행인가와 관리처분 단계에서 중복해서 확인하는 재개발 임대주택 세입자 자격 조회도 관리처분에서 1회만 진행한다. 조합원 분양 공고 전에 시행하는 추정 분담금 검증 절차도 4회에서 3회로 줄이기로 했다. 또 서울시가 협의 의견 조정 창구를 마련해 부서 간 이견이 발생할 경우 직접 조율에 나선다. 관리처분계획 타당성 검증을 내년 상반기부터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공사)에서도 처리해 정비물량 급증으로 인한 행정 지연을 방지한다. 법적 손실 보상에서 제외된 세입자에게도 이주비용을 보상하면 용적률 인센티브를 줄 방침이다. 정비사업 과정에서 자주 발생하는 사소한 변경 사항은 구청장이 직접 인가할 수 있도록 자치구의 권한도 대폭 확대한다. 하지만 조합 등 정비업계에선 이번 공급 계획에 한계가 있다는 반응이 적지 않다. "사업엔 별로 도움이 안 되면서 성가신 것들을 없애준 것은 의미가 있지만 전체 사업 기간을 크게 앞당기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발표한 9·7 대책에서 한 번의 총회를 통해 사업시행계획과 관리처분계획 인가를 동시에 신청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면 이 단계에서 걸리는 기간이 절반 이상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백준 J&K 도시정비 대표는 "소규모 재건축과 리모델링 사업은 사업시행인가와 관리처분계획을 동시에 처리하고 있다"며 "일반 재건축·재개발에 적용하려면 정부 차원에서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시는 행정 수단을 최대한 동원했지만 일부 방안은 법적 근거가 없어 포함하지 않았다. 정부와 여당이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도정법)을 개정해 재건축·재개발 촉진법을 마련한다면 민간 정비사업의 여러 구간에서 사업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오산세교 우미린 레이크시티 오산세교우미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09 친환경 태양 2025.10.01 7
8308 지난달 서울 전용 33㎡ 이하의 원룸 평균 월세는 70만 원으로 집계됐다. dodo 2025.09.30 6
8307 청약 시장에서 고배를 마셨던 수요자들에게 다시 한 번 기회가 찾아온다. dodo 2025.09.30 6
8306 알파 태양 2025.09.30 5
8305 서울 아파트 매매 물건이 빠르게 줄고 있다. 수요는 늘어나는데 매물이 부족해 가격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dodo 2025.09.30 5
» 서울시가 공공 주도의 정부 9·7 부동산 대책을 보완하기 위해 내놓은 주택 공급 계획의 핵심은 민간 재건축·재개발 사업의 인허가 개선을 통해 전체 기간을 최대 6.5년 앞당기는 것이다. dodo 2025.09.29 9
8303 서울 강남 11개구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이 처음으로 18억원을 넘어섰다. 수도권 평균 아파트값은 8억원대로 재진입 했다. dodo 2025.09.29 8
8302 국토교통부와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29일 1기 신도시 등 노후계획도시의 원활한 자금조달을 지원하기 위해 12조원 규모의 미래도시펀드 조성에 본격 착수한다. dodo 2025.09.29 9
8301 팩폭 태양 2025.09.29 10
8300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최근 가팔라지자 경매 시장으로 열기가 확산하고 있다. dodo 2025.09.28 10
8299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값 통계를 보면 우선 대출 규제 이후 한 번도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하지 못하고 있다. dodo 2025.09.27 9
8298 3년여간 줄곧 떨어졌던 부산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최근 4주 연속 직전 주와 같은 보합세를 나타냈다. dodo 2025.09.27 11
8297 정부가 1기 신도시(분당·일산·중동·평촌·산본) 재건축 구역 지정 물량을 당초 2만6000가구에서 약 7만 가구로 확대하기로 했다. dodo 2025.09.27 10
8296 비자 태양 2025.09.26 9
8295 국토교통부가 ‘집값 띄우기’가 의심되는 아파트 거래 해제 사례를 집중 조사한다. dodo 2025.09.26 10
8294 정부의 9·7 주택 공급대책 발표 이후에도 주택 가격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dodo 2025.09.26 12
8293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에 속도가 붙는 추세가 완연하다. dodo 2025.09.25 11
8292 워홀 태양 2025.09.25 12
8291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 하반기 민간참여사업을 5100호 규모로 추가 시행하기로 했다. dodo 2025.09.25 12
8290 서울시가 정비사업의 걸림돌을 제거해 신속한 추진이 이뤄질 수 있도록 자치구와 협력에 나섰다. dodo 2025.09.24 1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