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지난달 서울과 수도권 아파트 시장의 거래량이 다소 주춤해진 가운데, 강남구와 과천시 등 일부 고가 단지를 중심으로 종전 최고가를 회복하거나 신고가를 새로 쓴 거래가 전체의 절반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강남구는 지난달 전체 거래 중 59.0%가 종전 최고가 이상 수준의 거래로 집계됐다.힐스테이트 용인 마크벨리 이는 2022년 4월(53.7%) 이후 처음으로 신고가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수치다. 과천도 전체 거래의 62.5%가 신고가로 조사됐다.
12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등록된 아파트 매매거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은 1만3423건으로 한 달 전(2만5456건) 대비 약 47% 감소했다.
다만 서울 강남구와 경기 과천시에서는 전체 거래 중 종전 최고가 이상을 기록한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어서는 등 고가 단지를 중심으로 높은 가격대가 유지되고 있다.
반면 수도권 전체 신고가 거래 비중은 3월 9.10%에서 지나달 5.97%로 낮아졌으며 서울(18.75%→15.44%), 인천(2.97%→2.55%), 경기(3.75%→3.08%) 등 모두 소폭 감소했다.
이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오는 7월 예정된 스트레스 DSR 3단계 도입, 조기 대선 등 주요 정책 및 제도 변화에 대한 관망 심리가 확산되며 거래가 위축된 영향으로 보이는데, 고가 단지가 밀집된 지역은 선택적 매수세가 유입되며 지역별 거래 흐름의 차별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서울 지역별 신고가 거래 비중을 살펴보면, 강남구는 지난달 전체거래의 59.0%가 신고가 거래로 나타났으며, 용산구는 고급 주거지와 개발 기대감이 맞물려 46.2%의 신고가 거래가 관측됐다.
양천구는 목동 신시가지 재건축 기대감이 반영되며 신고가 거래 비중이 한 달 전(25.9%) 대비 크게 상승한 44.0%를 기록했다. 서초구는 33.3%로 고가 단지를 중심으로 높은 신고가 거래 비중을 유지하고 있다.
이외에도 송파구(27.9%), 마포구(26.0%), 강동구(22.8%), 성동구(22.2%) 등 한강변과 도심 주요 지역에서도 20% 이상의 신고가 거래 비중이 집계됐다.
그러나 외곽지역의 경우 도봉구(0.9%), 강북구(1.5%), 노원구(1.9%) 등은 1% 내외의 낮은 신고가 비중을 보였다.
경기도에서는 과천시가 지난달 전체 거래 중 62.5%의 신고가 거래 비중을 기록했다. 과천푸르지오써밋, 래미안슈르, 과천자이 등 주요 고가 단지를 중심으로 거래가 형성되며 서울 강남과 유사하게 고급 주거지에 수요가 집중됐다는 분석이다.
이어 성남시 분당구(15.7%)는 판교 백현동의 중대형 아파트와 수내·서현동 등 1기 신도시 내 리모델링 추진 단지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이어졌다.용인 힐스테이트 마크밸리 서울 접근성과 개발 기대가 맞물리며 입지 선호도가 노픈 지역에 선택적 매수세가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부천시 오정구(15.45)와 소사구(10.1%)는 서울 접근성이 우수한 중소형 구축 단지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관찰됐다.
힐스테이트 용인 마크밸리
인천 아파트 시장은 미추홀구에서 지난달 신고가 거래 비중이 7.5%를 나타내며 인천 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동구(4.5%), 부평구(4.4%), 서구(1.9%), 남동구(1.5%), 계양구(1.1%), 연수구(0.7%) 등은 신고가 거래 비중이 낮은 수준에 머물며 관망 흐름이 유지되는 모습이다.
직방 관계자는 “거래량은 줄었지만 시장을 관망하던 수요자들이 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선별적인 매수에 나서며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며 “특히 입지 경쟁력이 높은 고가 주거지를 중심으로는 대기 수요가 여전히 유효하게 작용하며 가격 회복 흐릅을 견인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일부 고가 단지의 상승 거래는 시장 기대치에 영향을 주는 기준점(앵커) 역할을 하며 이른바 앵커링 효과를 통해 주변 단지의 가격 형성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며 “향후에도 금리, 정책 등 대외 변수에 대한 관망세 속 개별 단지의 입지와 상품성에 따라 수요가 갈리는 흐름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