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남사 힐스테이트 로 빌라 같은 비아파트 거주자들이 넘어오면서 올해 서울에서 팔린 주택 10건 중 7건이 아파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공개된 서울 주택 거래 신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월부터 어제(13일)까지 매매 신고된 6만3,730건 가운데 아파트가 4만5,022건으로 전체의 70.6%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2006년 실거래가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은 비중입니다.
반면 빌라로 통칭되는 연립·다세대 비중은 전체의 26.2%(1만6,716건), 단독·다가구 거래 비중은 3.1%(1,992건)에 그쳐 연간 기준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지금까지 서울 아파트 거래 비중이 가장 높았던 시기는 2013년으로 65.6%였습니다.
이후 아파트 거래 비중은 꾸준히 감소해 2020년은 53.1%로 떨어졌고, 아파트값이 급등한 2021년에는 38.1%로 줄어든 뒤 금리 인상 후폭풍이 몰아친 2022년은 26%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반대로 2020년 7월 말 임대차 2법 시행으로 전셋값이 급등하고 빌라 신축 붐이 일어난 2021년과 2022년에 연립·다세대 거래 비중은 각각 53.3%, 64.7%까지 치솟으며 아파트 거래량을 뛰어넘었습니다.
2022년의 연립·다세대 거래량은 3만1,881건으로, 아파트 거래량(1만2,799건)의 2.5배에 달했습니다.
하지만 2022년 말부터 전세사기 문제가 본격화하며 연립·다세대 거래 비중은 2023년 37.5%, 2024년 31.4%로 감소한 뒤 올해 들어선 30%를 밑돌고 있습니다.
단독·다가구 역시 2023년(4.4%)부터 5% 미만으로 떨어진 뒤 작년(3.7%)과 올해는 3%대로 하락했습니다.
반대로 아파트 거래비중은 2023년 58.1%, 2024년은 64.9%로 점차 늘어난 뒤 올해 70%를 넘겼습니다.
남사 힐스테이트
전세사기 여파로 빌라·다가구 등 비아파트 포비아(phobia·공포증) 현상이 커지고, 아파트 쏠림 현상은 더욱 심화한 것입니다.
특히 올해는 거래에 제약이 있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이 강남 3구와 용산구 전체 아파트로 확대됐지만, 금리 인하와 가격 상승에 힘입어 매수세가 더욱 불붙은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 주택 시장의 비아파트 수요 감소는 신규 공급 축소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올해 1∼5월 서울의 비아파트 인허가 물량은 총 2,232가구로 작년(1,361가구)보다 늘었지만 2020년 동기간(1만1,757가구)에 비해 19% 수준에 그쳤습니다.
전문가들은 과열된 서울 아파트값 안정을 위해서는 빌라·다가구 등 비아파트 시장을 활성화해 수요가 분산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용인 남사 힐스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