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용인남사민간임대 가 무주택자들한테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부동산 시장 양극화가 심화하면서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 상-하위 격차가 약 2년 반 만에 최대로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케이비(KB)부동산 조사를 보면, 전국 아파트 전세시장에서 고가 주택과 저가 주택 간 평균 가격 격차를 나타내는 5분위 배율은 지난 6월 기준 7.7로 2022년 11월 이후 가장 높았다.남사 민간임대 5분위 배율은 주택 가격 상위 20% 평균(5분위 가격)을 하위 20% 평균(1분위 가격)으로 나눈 값이다. 배율이 높을수록 가격 격차가 크다는 뜻이다.
6월 기준으로 전국의 5분위 평균가격은 6억7849만원, 1분위는 8869만원으로 집계됐다. 평균 전셋값이 가장 높은 서울은 5분위가 12억3817만원, 1분위는 2억8084만원이었고 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외한 기타지방은 5분위 3억2983만원, 1분위 5301만원이었다.
이처럼 전국 전세가격의 5분위 배율이 커진 것은 수도권 전세가격이 올 들어 상승세를 보이는데 반해 지방은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6·27 대출규제 영향이 본격화한 7월 첫째 주에도 서울 전세가격은 상승폭이 전주 0.07%에서 0.08%로 소폭 확대됐다. 수도권 전체(0.05%→0.03%) 전셋값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반면 지방(-0.01%)은 지난해 12월 첫째 주 이후 30주째 전세가격이 하락했다.
지방의 전셋값 하락은 부동산 경기 침체가 주된 요인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5월 기준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7013가구인데, 이 가운데 83%인 2만2397가구가 지방에 몰려 있다. 지방의 매매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점도 지방 전세가격이 약세를 보이는 요인으로 꼽힌다.
용인 남사 민간임대
박원갑 케이비(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전세는 투기적 수요가 아니어서 구매력 등 지역경제를 반영한다”면서 “서울과 지방 간 소득 양극화가 심해진 것도 전세 양극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용인 남사 임대아파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