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다시 커졌다.

dodo 2025.08.07 18:36 조회 수 : 0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다시 커졌다. 대출 규제 강화(6·27 부동산 대책) 이후 6주 만이다. 재건축 추진 단지가 많고 거주 선호도가 높은 한강 벨트에서 반등이 나왔다. 상승폭이 계속 확대될지는 좀 더 봐야 한다는 시각이 많다. 하지만 수도권 공급 확대와 지방 부동산 수요 진작 등이 뒤따르지 않으면 대출 규제 효과가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지난 4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한 주 전보다 0.16% 올랐다. 지난주(0.12%)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6월 넷째 주 0.43%로 2018년 9월 둘째 주(0.45%) 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6·27 대책 이후 5주 연속 오름폭이 둔화했다가 이번에 반등한 것이다. 한강을 끼고 있는 한강 벨트가 상승을 주도했다. 성동구 아파트값 상승률은 지난주 0.22%에서 이번주 0.33%로 조사됐다. 광진(0.17%→0.24%), 강동(0.07%→0.14%), 용산(0.17%→0.22%), 강남(0.11%→0.15%), 마포(0.11%→0.14%) 등도 오름폭이 커졌다. 송파(0.41%→0.38%)와 서초(0.21%→0.16%)는 상승세가 둔화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관망세가 이어지며 전반적인 수요가 위축됐다”면서도 “재건축 추진 단지와 역세권·학군지 등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 증가하고 상승 거래가 나오면서 지난주보다 상승폭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거래는 많지 않았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기준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는 3159건으로 지난 6월(1만946건)보다 71% 줄었다. 하지만 신고가는 곳곳에서 이어졌다. 지난 1일 서초구 서초동 ‘현대슈퍼빌’ 전용면적 214㎡는 41억원에 거래됐다. 5월(35억원)보다 6억원 뛰었다. 지난달 31일엔 재건축 추진 중인 영등포구 여의도동 ‘광장’이 41억5000만원에 팔려 4월(35억4000만원)보다 6억1000만원 올랐다. 마포구 신수동 ‘마포경남아너스빌’(84㎡·13억9000만원), 동작구 본동 ‘래미안트윈파크’(59㎡·17억2000만원), 성동구 행당동 ‘신동아’(59㎡·10억5500만원) 등도 신고가 행진이었다. 경기도도 선호 지역 집값 상승폭이 다시 커졌다. 성남 분당 상승률은 이번주 0.47%로 지난주(0.25%)의 두 배였다. 하남(0.02%→0.17%), 안양 동안(0.19%→0.26%), 과천(0.29%→0.34%) 등도 오름폭이 확대됐다. 전문가들은 관망세 속에 거래가 뜸해졌을 뿐 핵심지 아파트에 대한 수요는 여전하다고 보고 있다. 김효선 농협은행 부동산수석위원은 “대출 규제로 인한 수요 억제는 일시적 효과에 그칠 것”이라며 “수요·공급 불균형이라는 근본적인 문제가 해소되지 않으면 시장 불안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제경 투미부동산컨설팅 소장은 “정부가 경기를 살린다는 명목으로 재정 지출을 늘리고 있다”며 “유동성 증가와 화폐 가치 하락이 집값 상승을 부추길 것”이라고 말했다. 오남역 민간임대 이달 예고된 공급 확대 정책에 서울 등 핵심지의 안정적인 공급 로드맵이 담겨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연구실장은 “노무현·문재인 정부 때도 강력한 투기억제책을 썼지만 효과는 3~6개월에 불과했다”며 “3기 신도시 신속 공급, 민영주택 공급 촉진, 도시 정비 활성화 등을 강구하지 않으면 4분기 중 집값이 다시 급등세로 돌아설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부가 지방 부동산 침체를 내버려 둔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지방에 미분양이 쌓이고 있지만 정부가 이에 대한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며 “집값이 계속 내려가니 지방 사람이 지역에서 집을 안 사고 다 수도권에 집을 사려 한다”고 했다. 오남역 민간임대 아파트 오남역 임대아파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144 수도권 입주 예정 물량이 2년 뒤 10만가구대로 감소하면서 정부가 현실적인 공급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dodo 2025.08.08 0
8143 1983년 준공해 올해로 42년된 서울 강남구 대치쌍용1차 아파트가 최고 49층 999가구 규모의 ‘수변친화형’ 주거단지로 탈바꿈한다. dodo 2025.08.08 0
8142 9호선 흑석역 인근 흑석동 90번지가 1540가구 대단지로 탈바꿈한다. dodo 2025.08.08 0
8141 거여·마천 재정비 촉진지구에서 사장 빠른 정비사업 진척도를 보이고 있는 마천4구역이 서울시 통합심의를 통과했다. dodo 2025.08.08 0
8140 서울 송파구 신천동에 공급되는 ‘잠실르엘’의 일반 분양가가 3.3㎡당 6104만 원으로 확정됐다. dodo 2025.08.08 0
8139 서울의 한 단독주택 소유주 A씨는 양도세 절감을 위해 매수인 B씨에게 거래 신고액을 낮추자고 제안했다. dodo 2025.08.08 0
8138 정부가 10월부터 숙박업 신고나 용도변경 신청이 되지 않은 주거용 생활형숙박시설(생숙)의 현장 점검에 나선다고 8일 밝혔다. dodo 2025.08.08 0
8137 6·27 부동산 대책 이후 매수세가 둔화됐던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 폭이 6주 만에 반등했다. dodo 2025.08.07 0
8136 하반기 로또 청약 단지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서울 송파구 신천동 '잠실 르엘' 분양가가 확정됐다. dodo 2025.08.07 0
8135 서울시가 서울 평균보다 땅값이 낮은 재건축·재개발 사업지의 일반분양 물량을 늘려 사업성을 높여주기 위해 도입한 '보정계수' 제도가 시장에서 점차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dodo 2025.08.07 0
»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다시 커졌다. dodo 2025.08.07 0
8133 이달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서 2만1335가구의 새 아파트가 쏟아진다. dodo 2025.08.07 1
8132 경남 고성군은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2025년 투자선도지구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dodo 2025.08.07 1
8131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전월의 4분의 1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dodo 2025.08.07 1
8130 멍때리기 태양 2025.08.07 1
8129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 이후 6주 만에 서울·경기 아파트값 상승 폭이 다시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dodo 2025.08.07 1
8128 강남 3구 등 국내 고가 아파트를 취득, 보유하는 과정에서 편법을 이용해 세금을 회피한 외국인 탈세자들이 당국에 덜미를 잡혔습니다. dodo 2025.08.07 1
8127 해안가 도시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문화, 관광, 레저, 경제, 산업 등 다양한 분야가 유기적으로 결합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dodo 2025.08.07 1
8126 지난해와도 분위기가 다르다. dodo 2025.08.07 1
8125 내년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이 올해보다 약 23%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dodo 2025.08.07 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