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가 심화하면서 고가 아파트와 저가 아파트의 전셋값도 2년 반 만에 가장 크게 벌어졌다. 서울과 수도권은 전셋값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지만, 지방은 미분양 적체로 전셋값이 하락하는 추세다.
13일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전세시장에서 고가와 저가 주택 간 가격 격차를 보여주는 5분위 배율은 7.7을 기록했다. 이는 2022년 11월 이후 최고치다.
5분위 배율은 전셋값 상위 20%(5분위)의 평균을 하위 20%(1분위) 평균으로 나눈 것이다. 이 배율이 높을수록 가격의 격차가 크다는 뜻이다.덕소역 민간임대 아파트 6월 기준 5분위 평균은 6억7849만원, 1분위는 8869만원이다.
서울의 5분위 평균 전셋값은 12억3817만 원, 1분위는 2억8084만원을 기록했다. 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외한 기타 지방은 5분위 3억2983만원, 1분위 5301만원으로 집계됐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6·27 대출 규제가 나온 7월 첫째 주에도 서울 전셋값 상승률은 전주 0.07%에서 0.08%로 올라갔다. 수도권 기준으로도 0.05%에서 0.03%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반면 지방은(-0.01%) 지난해 12월 첫째 주 이후 30주 연속 전셋값이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덕소역 민간임대
한국부동산원이 조사한 7월 첫째 주 전세수급지수는 서울이 102.0으로 수요가 공급보다 많았다. 반면 지방은 95.2로 공급이 수요를 상회하는 상황이다.
지방은 올해 5월 말 기준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전국의 83%를 차지하는 등 주택 수요가 부족한 상태다.
덕소역 임대아파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