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사업장 10곳 중 7곳이 건설사로 나타났다. 전체 사망자 중 절반 이상이 건설업 종사자였고, 이 중 상당수가 하청 노동자였다. 1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올해 1분기까지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사업장은 대우건설로 총 12명이 숨졌다. 이어 현대건설과 한국전력공사가 각 11명으로 공동 2위, 롯데건설과 DL이앤씨가 각 9명으로 공동 4위에 올랐다. 한화, 한화오션, 현대엔지니어링, 한국철도공사는 각 7명(공동 6위), 계룡건설산업은 6명(10위)으로 집계됐다. 이 중 한전, 한화오션, 코레일을 제외한 7곳이 모두 건설사다. 전체 산업재해 사망자 가운데 건설업 비중도 절반을 넘겼다. 같은 기간 산업현장 사망자는 총 1968명으로, 이 중 건설업에서만 991명(50.35%)이 사망했다. 조사대상 사고사망 사건 979건 중 하청업체 소속 근로자가 포함된 사건은 602건으로 전체의 61.5%에 달했다. 10건 중 6건 이상이 하청노동자 사망사건인 셈이다. 중대재해처벌법 수사 착수 사건은 총 1091건이었지만 실제 송치된 사건은 236건에 불과했다. 구속영장이 발부된 경우는 55건에 그쳤고, 중대재해 여부를 심의하는 ‘중대산업재해 수사심의위원회’는 단 1회만 개최됐다. 중대재해처벌법은 2022년 1월 27일부터 시행된 법으로 노동자 사망 등 중대 사고 발생 시 사업주나 경영책임자를 형사처벌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오산세교 우미린 시행 이후 사망자 수는 줄고 있지만, 50인 미만 영세 사업장 중심으로 중대재해는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박 의원은 “건설업계와 하청 구조에 뿌리 박힌 산업안전의 사각지대가 여전히 방치되고 있다”며 “반복되는 죽음을 멈추기 위해, 생명 앞에 비용을 따지지 않는다는 원칙 아래 하청노동자 보호와 책임 회피 구조 개혁에 정부와 국회가 더 과감히 나서겠다”고 말했다. 오산세교 우미린 레이크시티 오산세교우미린레이크시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57 2년 전 전세계약을 체결한 수도권 아파트 세입자들이 계약 만기가 도래하면서 평균 4200여만원 수준의 보증금 증액 부담에 직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dodo 2025.08.02 0
8056 공사가 끝났지만 팔리지 않아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 물량이 부산에서 14년 11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dodo 2025.08.02 0
8055 서울시가 신혼부부에게 공급하는 장기전세주택 '미리내집' 총 485가구의 청약을 8월 11~12일 이틀간 받는다. dodo 2025.08.02 1
8054 앞으로 나올 알짜 공공분양 물량은 뭐가 있을까요. dodo 2025.08.02 1
8053 국내 대형 건설사들이 올해 상반기 매출은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반등하며 내실을 다지는 모습이다. dodo 2025.08.02 0
8052 피트니스센터, 수영장 등을 갖춘 단지 내 커뮤니티시설이 아파트 가치를 상승시키는 주요한 요소로 자리잡으면서 신축이 아니더라도 커뮤니티시설을 보수하거나 신설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dodo 2025.08.02 0
8051 민간 주택 공급 활성화를 위해 '주택진흥기금' 도입을 추진 중인 서울시가 본격적인 제도 설계에 돌입했다. dodo 2025.08.02 1
8050 가을 이사철을 앞두고 전세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dodo 2025.08.02 2
8049 8월 첫째 주에는 전국적으로 3천600여가구가 청약 물량으로 나온다. dodo 2025.08.02 2
8048 국내 대형 건설사들이 올해 상반기 매출은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반등하며 내실을 다지는 모습이다. 건설경기 침체 속에서도 원가율 개선과 고수익성의 선별 수주 전략이 수익 개선으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다만, 건설경기 침체와 분양시장 위축에 따른 외형 축소 우려는 여전하다. dodo 2025.08.02 0
8047 전세자금대출·정책모기지론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적용될 가능성이 높아진 가운데, 집값 안정 효과·서민 주거불안 심화 등으로 시장 전망은 엇갈리고 있다. 다만 규제 도입 시 취약계층, 월세화 부작용 등을 고려해 세밀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dodo 2025.08.02 1
8046 “정책대출 깐깐, 은행은 금리 높아”… ‘미리 내집’ 포기하는 신혼부부들 dodo 2025.08.01 0
8045 서울 광진구 자양동 한강 변에 2400여 가구 규모의 대단지 아파트가 조성된다. dodo 2025.08.01 0
8044 신생아특례대출도 DSR 적용 dodo 2025.08.01 0
8043 “강남 월세가 30만원?” 817대 1 ‘로또임대’된 청년매입임대 dodo 2025.08.01 0
» 중대재해 사망, 절반이 건설업…상위 10곳 중 7곳 건설사 dodo 2025.08.01 0
8041 도심 공공주택 복합지구 족쇄 풀렸다… 토지주에 현금 청산 대신에 분양권 지급 dodo 2025.08.01 1
8040 상반기 주택 착공 19%, 분양 40% 감소…주택 공급 '빨간불' dodo 2025.08.01 1
8039 하반기 서울 분양 시장 최대 관심 단지 중 하나로 꼽히는 송파구 신천동 잠실르엘(잠실미성·크로바아파트 재건축)이 이달 청약에 돌입한다. dodo 2025.08.01 1
8038 도심 공공주택 복합지구 족쇄 풀렸다… 토지주에 현금 청산 대신에 분양권 지급 dodo 2025.08.01 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