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공지사항

민간의 주택 공급을 촉진하기 위해 금융 지원 확대와 분양가 규제 완화, 과도한 기부채납 축소 등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해링턴스퀘어리버파크 공공주택 분야에서는 택지 조성 기간 단축, 민간 참여 공공주택 사업 확대, 지분적립형 주택 공급 등이 공급 확대 방안으로 거론됐다.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의 인허가 기간을 줄이고 조합 갈등을 조율하는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염태영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공동으로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 세미나’를 열고 이 같은 분석을 내놨다. 주산연은 강력한 대출 규제(6·27 부동산 대책)로 서울 강남 집값 상승세가 둔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덕례 주산연 주택연구실장은 이에 대해 “대출 규제에 따른 가격 안정세는 3~6개월이면 끝날 수 있다”며 “하반기부터 1기 신도시와 서울 인기 지역의 재건축이 활성화되면서 재건축 단지에서 촉발된 상승세가 인근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주택 공급 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라는 게 주산연의 분석이다. 주산연에 따르면 최근 3년(2022~2024년)간 연평균 31만 가구의 주택이 착공했다. 2017~2021년 연평균 착공 실적(52만 가구)에 크게 못 미친다. 3년간 누적 공급 부족 물량이 63만 가구에 달하는 셈이다. 주산연은 민간·공공 부문의 공급 활성화로 시장 불안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민간 부문에서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금 경색 해소를 시급한 과제로 꼽았다. 구체적으로 PF 수수료 적정화, 브리지론 이자율 완화, 잔금대출에 대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완화 등을 제시했다. 기본형 건축비를 단계적으로 현실화해 사업성을 높이고, 무주택 실수요자의 DSR 완화와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유예 등 소비 진작책도 병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공실 문제를 안고 있는 지식산업센터 일부를 주거용으로 용도 변경을 허용하는 방안과 등록임대 제도 정비 등도 언급됐다. 공공주택 공급 분야에서는 3기 신도시 조기 공급을 위한 택지 조성 기간 단축을 핵심으로 꼽았다. 공공택지 조성에만 평균 8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조성 공사 시기에 맞춰 외부 인프라 준공이 이뤄지도록 법령 개정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 외에 지분자유적립형 공공주택 도입 등 다양한 수요층을 고려한 새 공급 모델을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 부문에서는 과도한 개발 이익 환수 기조를 조정할 필요성이 부각됐다. 해링턴스퀘어 리버파크 해링턴스퀘어 경기광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105 서울 강남구 압구정 5구역 일대가 47년 만에 최고 69층 규모의 1400여 가구 대단지로 바뀐다. dodo 2025.08.06 0
8104 서울 동작구 사당동 63-1일대 재정비가 본격화된다. dodo 2025.08.06 0
8103 은행권이 신규 주택담보대출 판매를 중단하거나 대출모집인을 통한 대출 빗장을 잠그고 있다. dodo 2025.08.05 0
» 민간의 주택 공급을 촉진하기 위해 금융 지원 확대와 분양가 규제 완화, 과도한 기부채납 축소 등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dodo 2025.08.05 0
8101 서울 강남구 압구정5구역(조감도)이 최고 250m, 1401가구로 탈바꿈한다. dodo 2025.08.05 1
8100 이재명 정부가 서울 강남 집값 과열을 억제하기 위해 역대 가장 강력한 대출 규제를 발표한 지 한 달이 지나면서 지방 부동산 시장이 상대적으로 더 큰 타격을 받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dodo 2025.08.05 0
8099 2~3년 뒤 서울 중심의 주택 공급 부족 우려가 현실화하면서 생활형숙박시설과 지식산업센터 등 비주택 물량을 통한 공급 활성화가 단기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제언이 나오고 있다. dodo 2025.08.05 1
8098 주택 공급 활성화를 위해 분양가 규제를 현실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dodo 2025.08.05 0
8097 서울 정비사업 시공사 수주전이 위법 논란이 불거질 정도로 달아올랐다. dodo 2025.08.05 0
8096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114주째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dodo 2025.08.05 0
8095 독신가구 중 비아파트 거주 비율이 절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dodo 2025.08.05 1
8094 보수 정부가 들어서면 집값이 안정되고, 진보 정부가 들어서면 집값이 오른다는 속설에 대한 반박이 제기됐다. dodo 2025.08.05 0
8093 최근 주택시장에서 산업단지를 품은 직주근접 특화 아파트의 상승세가 주목받고 있다. dodo 2025.08.05 0
8092 정부가 이행강제금 부과 위기에 처한 생숙에 대해 지난해 10월 합법 지원 조치를 발표하고 1년간 퇴로를 열어줬지만 오피스텔로의 용도변경은 요원한 상황이다. dodo 2025.08.05 1
8091 서울 강남구 한강변 부촌 압구정5구역이 최고 50층 높이 1401가구로 재탄생한다. dodo 2025.08.05 0
8090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구리갈매역세권 및 남양주진접2 지구에 총 2357가구 주택공급을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dodo 2025.08.05 0
8089 강남구청이 개포우성7차 수주전에 참여한 삼성물산(028260)과 대우건설(047040)을 대상으로 행정지도 조치를 검토 중이다. dodo 2025.08.05 1
8088 서울 중구 을지로 3가 인근에 들어설 프라임급 오피스 ‘원엑스(ONE X)’는 당초 내년 준공할 예정이었다. dodo 2025.08.05 1
8087 8월 전국에서 총 2만 5699가구 규모의 아파트 분양이 이뤄질 예정이다. dodo 2025.08.05 1
8086 올해 20~30대가 서울에서 아파트를 가장 많이 구입한 자치구는 송파구, 영등포구, 성동구, 마포구 등의 순이었다. dodo 2025.08.05 1
위로